규제 묶인 인터넷銀…“이젠 인력 지키기도 버거워요”

[출범 1년 맞은 인터넷은행…ICT 전문인재 유출 우려 커져]
정치권 은산분리 완화 논의 장기화
메기효과 기대했는데 동력 잃어
성장 불안감에 주주간 갈등 표출
은행 파견직원들 벌써 복귀 타진해
  • 등록 2018-07-12 오전 5:00:00

    수정 2018-07-12 오전 5:00:00

[그래픽=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이데일리 박일경 기자] “지난 2016년 케이(K)뱅크 준비법인 단계에서 우리은행 임직원 22명이 K뱅크로 이직했습니다. K뱅크 전체 임직원이 약 200여명인 점을 감안하면 10명 중 1명이 우리은행 출신인 셈이죠. 이들은 당시 3년 후 우리은행으로 복귀할 수 있는 조건을 달았는데 출범한 지 1년이 지난 시점에서 벌써부터 조기 복귀를 타진하는 직원들이 적지 않습니다.”

A은행 한 임원의 귀띔이다. 인터넷전문은행을 둘러싼 은산분리 규제 완화 논의가 답보 상태에 머물면서 기존 정보통신기술(ICT) 전문인재의 유출 우려가 커지고 있다. 11일 민병두·정재호 위원실 주최로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인터넷전문은행 토론회에 참석한 윤호영 카카오뱅크 공동대표도 “인터넷전문은행에 대한 소유 지분 완화 논의가 장기화할 경우 핵심 인재의 유출과 동기 저하로 혁신의 원동력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고 호소했다. 인터넷전문은행 관련 법 개정과 함께 자본확충,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 등 각종 규제에 얽메여 서비스 혁신 속도가 늦어진다면 ICT 전문인력 등 시장으로부터 외면받을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출범 1년을 맞은 인터넷전문은행의 성적표 역시 초라하다.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는 각각 838억원, 1045억원의 적자를 냈다. 이런 상황에서 영업을 지속하다보니 자본적정성비율도 대폭 낮아졌다. 작년 3분기 20%대 중반이던 두 은행의 총자본비율은 올해 1분기 말 10%대 초반으로 떨어졌다. 반 년 만에 건전성 지표가 ‘반 토막’이 났다.

산업주주와 금융주주가 뒤섞여 있는 인터넷전문은행의 지배구조 또한 성장과 혁신에 대한 불안 요인으로 꼽힌다. 실제 20개 주주로 구성된 케이뱅크의 경우 지속적인 영업을 위해 자본 확충이 필수적이지만 수익성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면서 주주 간 갈등이 표출되고 있다. 이에 일부 주주 이탈 가능성이 관측된다. 최근 추가 증자에 참여한 DGB금융지주가 대구은행이 아닌 DGB캐피탈(3.7%)을 통해 소수 지분을 투자한 것에 대해선 뒷말이 무성했다. 업계에선 케이뱅크 지분을 가장 많이 보유한 우리은행(10%)이 또 다른 은행이 주주로 진입하는 것에 대해 좋지 않은 시그널을 보낸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카카오뱅크도 지난 4월 5000억원 증자로 자기자본을 1조3000억원까지 늘렸지만 카카오의 (의결권)지분 참여 제한에서 오는 마찰이 존재한다. 카카오는 얼굴마담일 뿐이고 결국 실익은 최대주주가 다 챙겨간다는 것이다.

한 인터넷전문은행업계 관계자는 “인터넷전문은행이 출범 1년을 맞았지만 당초 기대했던 메기효과에 의문을 보내는 시각에 때론 자괴감이 든다”며 “갈 길은 먼데 정치 논리에 막혀 이도저도 못하고 있는 것이 안타깝다”고 토로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꼼짝 마
  • 우승의 짜릿함
  • 돌발 상황
  • 2억 괴물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