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장순원 기자] 와 같은 대기업들이 지난 3년간 생산원가보다 1조5000억원 가량 싸게 전기를 공급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기간 이 기록한 적자(약 3조원)의 절반 가량이다.
19일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소속 민주당 노영민 의원에 따르면, 전기사용 상위 10위 기업이 2008년부터 3년간 12만8389GWh의 전기를 사용해 8조2529억원의 요금을 납부했는데, 생산원가를 따지면 이들 대기업은 약 1조4847억원 가량을 싸게 공급받았다는 것이다.
지난해 산업용 전력 평균 판매단가는 Kwh(킬로와트)당 76.73원으로, 전력 생산원가인 96원보다 19.27원 싸게 공급받았다. 이는 또 전체 평균 전력 판매단가인 87원보다 10.27원 더 싼 가격이다. 대기업은 전기를 사용할 수록 상대적으로 이익을 얻은 셈이다.
가 2조1730억원의 전기요금을 납부해 원가보다 3922억원 싸게 전기를 공급받았다. (2623억원), (1979억원), (1358억원) 등도 금액이 컸다.
특히 전력 소비가 많은 상위 10대 사업장은 전기요금 더 쌌다. 민주당 강창일 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현대제철 당진공장, 포스코 포항지점, LG디스플레이 파주지점, 삼성전자 용인지점 등 10개 전력 다소비 사업장은 발전원가보다 7485억원 할인된 1조7801억원의 전기요금만 부담했다.
지난해 전체 산업용 평균 판매단가는 Kwh당 76.63원이었지만, 이들 상위 10위 사업체에 대한 판매단가는 9원이 더 싼 Kwh당 67.56원에 불과했다.
강 의원은 "이들 대기업에 대한 공급원가 이하의 전기판매가 한전 적자의 근본적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최중경 지경부 장관은 이날 열린 국정감사에서 "대기업의 산업용 전기요금은 충격을 주지 않는 선에서 단계적으로 더 올릴 생각"이라고 말했다.
▶ 관련기사 ◀☞삼성·LG, `사양길` PC사업 오히려 강화..왜?☞삼성전자, 삼성앱스 2주년 기념 `새단장`☞삼성전자 "크고 스마트한 냉장고가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