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의대생을 위한 학사운영 유연화 조치를 취하지 않겠다며 의대생들에게 복귀를 종용한 바 있다. 이달 말까지 복학하지 않는 의대생은 제적을 포함한 불이익 처분을 받을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의대를 두고 있는 대학 총장들도 병역과 임신·출산 등 불가피한 사유가 없는 의대생들의 휴학계를 최근 모두 반려하면서 복학을 촉구했다. 하지만 의대생들의 복귀 움직임이 이런 정부와 대학의 강경한 입장 천명에 놀라서만은 아닐 것이다. 1년 넘게 이어진 의·정 갈등에 계속 휘둘리기보다는 이제 자신의 미래를 준비하는 쪽으로 방향을 돌려야 한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복귀하는 의대생들에게 기성세대는 의·정 갈등을 해결해가는 책임 있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정부는 의대생 복귀를 전제로 내년도 의대 정원을 기존 수준으로 환원하겠다고 한 약속을 지키고, 의료계는 향후 인력 수급과 의료개혁에 관해 정부와 열린 자세로 협의해야 한다. 국회 상임위를 통과한 의료인력수급추계위원회 설치 법안도 마땅한 다른 대안이 없는 만큼 여야가 조속히 본회의 처리까지 마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