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 국내 주요 항공사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제주항공·진에어·티웨이항공·에어부산 등 4개사의 매출채권은 45%(542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연말 기준 △제주항공 73%(339억원) △티웨이항공 40%(82억원)) △에어부산 26%(51억원) △진에어 21%(69억원) 등으로 모두 20% 이상 늘었다.
매출채권은 일반적으로 기업이 상품을 판매하고 고객으로부터 아직 받지 못한 대금을 의미한다. 기업은 상품을 판매한 후 일정 기간이 지난 뒤 대금을 받는데, 이때 기업이 고객으로부터 받아야 할 대금 중 아직 받지 못한 금액을 매출채권으로 기록한다.
항공사의 매출채권은 미래 매출인 항공권 예약 등을 보여주는 지표다. 매출채권이 증가했다면 항공사의 주요 상품인 항공권이 직전 해보다 더 많이 팔렸을 가능성이 크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국내외 여행 수요가 폭증하면서 지난해 항공권 구매가 전년 대비 늘었고, 매출채권 증가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코로나19 시기엔 여객기 운항이 줄어들면서 항공권 판매가 줄었다”며 “코로나19 엔데믹 전환 이후 지난해부터 여객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항공권 판매 증가 및 매출채권 증가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제주항공을 포함한 국내 LCC의 매출채권이 증가한 것은 중·단거리 관광 노선 확장 영향이 크다. 고물가·고환율 상황이 지속됨에 따라 미주와 유럽 등 장거리 여행보다 일본·동남아 등 단거리 노선 좌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것이다.
반면 대형항공사(FSC·Full Service Carrier)와 LCC는 매출채권 증가세에서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실적 악화를 면치 못했던 FSC의 경우 매출채권이 거의 늘지 않거나 오히려 줄었다. 아시아나항공의 매출채권은 2022년 4017억원에서 2023년 4137억원으로 3%(120억원) 증가했고, 대한항공은 2022년 9595억원에서 9278억원으로 3%(317억원) 감소했다. 장거리 노선을 주력으로 하는 FSC의 노선 회복률이 낮은 탓에 예약률을 끌어올리지 못했다는 분석이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LCC는 지난해 일본 노선 회복으로 여객수가 증가하면서 실적 회복세가 두드러졌다. 작년 매출채권 증가는 중·단거리 노선 회복의 영향일 것”이라며 “수요의 급격한 회복이 있었던 LCC와 달리 FSC는 중·장거리 국제선 노선 회복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어 매출채권 상승률에서 차이를 보인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