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서울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앞두고 달러의 방향은 경제적으로도 정치적으로도 중요한 이슈로 부각될 전망이다.
지난주 10월 고용보고서가 예상보다 훨씬 좋게 발표되자 외환시장에서 달러는 주요 통화에 대해 급등세를 나타냈다. 지난 5일 시황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듯이 달러 강세는 언제든 주가에 부담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연방준비제도(Fed)가 6000억달러 규모의 양적완화를 발표한 이후 달러는 당분간 약세를 지속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 G20 정상회의에서 환율 논의 전망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오는 11~12일 서울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오바마 대통령은 주요국 정상들로부터 별로 환대를 받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독일, 브라질은 미국의 양적완화에 따른 달러 약세에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루이스 이나시오 룰라 다 실바 대통령은 G20 정상회의에서 환율 문제를 강력 제기할 것이란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물론 달러 약세는 상품 가격 상승을 통해 주식시장에 호재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번주 경제지표가 계속해서 개선된 모습을 보여준다면 달러가 강세를 나타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 경제지표·기업실적 한산
베테랑스 데이는 공휴일이라 주요 관공서와 금융사들이 문을 닫지만 주식시장과 선물시장은 열린다.
금요일(12일)에는 미시간대가 발표하는 11월 소비자신뢰지수가 공개된다. 연말 쇼핑시즌을 앞두고 미국인들의 소비심리가 어떤 상태인지 가늠해볼 수 있을 전망이다.
실적 발표 기업들로는 제너럴모터스(GM), 메이시즈, 폴로랄프로렌, 시스코, 디즈니, JC페니 등이 있다.
◇ 연준 관계자들 연설 예정
연준 관계자들의 연설도 예정돼 있다. 6000억달러 규모의 국채 매입을 발표한 직후라는 점에서 이같은 양적완화에 대한 연준 고위 관계자들의 시각을 확인할 수 있을 전망이다.
월요일(8일)에는 제임스 불라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뉴욕에서 연설한다. 그의 연설 주제는 `일본식 디플레이션 가능성`이다. 리처드 피셔 댈러스 연은 총재는 같은날 샌안토니오에서 경제 전망에 대해 연설한다. 케빈 워시 연준 이사의 연설도 예정돼 있다.
데니스 록하트 애틀란타 연은 총재는 목요일에 실업률에 대해 연설하고, 대니얼 타룰로 이사는 금요일에 은행 개혁을 주제로 연설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