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안재만 기자] 최근 대학원 입학을 결정한 취업준비생 A씨(32·여)는 대한항공에 대한 불만이 적지 않다. 객실승무원으로 채용돼 2년간 일했지만, 정규직 전환에 실패하면서 졸지에 `백수`가 됐기 때문. 그는 "내 실력이 부족해 떨어진 것이지만 2년동안 토익 점수는 사라졌고 면접에 대한 감도 없어졌다"며 "차라리 입사하지 말았어야 했다"고 토로했다.
14일 대한항공에 따르면, 대한항공의 비정규직은 9월말 기준으로 2648명에 달한다. 전체 직원(1만8347명)의 14.4%가 비정규직인 것. 이는 1.6%가 비정규직(1659명)인 삼성전자는 물론, 경쟁사인 아시아나항공(020560)의 7.7%, 제주항공 1.1%보다 훨씬 높다.
더구나 대한항공은 비정규직 의존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작년 1분기말 7.62%였던 비정규직 비율은 올 1분기말 9.91%로 높아졌다. 1년6개월만에 2배 가까이 치솟았다.
정부의 고용 안정 정책이 민간으로 확대될 가능성은 높다. 정부 발표가 나오자마자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반발한 것도 그만큼 이에 대한 우려가 크다는 뜻이다.
이와 관련, 대한항공은 공식적인 답변을 거부했다. 한 재계 관계자는 "`일단 뽑고 보자`는 채용 방식은 문제가 많다"면서 "비정규직 비율이 높은 기업들은 개선을 추진해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 관련기사 ◀ ☞대한항공 계열 진에어 기내서 외국인 실신..끝내 사망 ☞망한 항공사 조종사들이 몰려온다 ☞`또 너냐.." 공정위 단골손님 `대한항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