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소연 김인경 권효중 기자] 코로나19 이후 기업공개(IPO)열풍에 금융당국의 스탠스도 바뀌고 있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금융감독원의 기업공개(IPO) 공모주의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는 7월 현재 9곳으로, 전년대비 50%나 늘었다. 상장을 앞둔 기업들은 금감원의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가 공모가 형성에 개입해 시장에 영향을 미친다며 비판하고 있다.
 |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
|
22일 이데일리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과 상장사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금감원이 올해 IPO를 통해 신규 상장(코스피·코스닥)한 기업 중에 증권신고서 정정을 요구한 곳은 크래프톤·카카오페이·
아모센스(357580)·
삼영에스앤씨(361670)·
에이치피오(357230)·
라온테크(232680) 등을 비롯해 총 9곳에 달한다. 이는 지난해 증권신고서 정정을 요구받은 기업 6곳(7.8%)을 이미 넘어선 수준이다. 올 하반기 원스토어 등 대형 플랫폼 기업의 IPO도 남아 있어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금감원의 IPO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는 코로나19 이후인 지난해부터 생겨난 현상이다. 실제 2017~2019년까지 코스피와 코스닥에 283개사가 신규 상장했지만, 금감원이 정정을 요구한 경우는 전무했다.
뿐만 아니라
에스디바이오센서(137310)처럼 명시적으로 정정을 요구하지 않더라도 상장 과정에서 주관사에 구두로 내용 보강이나 정정을 요구하는 경우까지 포함하면 증권신고서 정정 기업은 더 많을 것으로 판단된다. 업계에선 증권신고서 정정은 이제 ‘상수’라는 얘기가 나온다.
특히 지난해엔 코스닥시장 기술 특례 기업을 중심으로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가 많았지만, 올해는 크래프톤이나 카카오페이처럼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을 앞둔 대어에도 증권신고서 정정 요청을 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금감원이 공모가에 개입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공모가가 기업의 가치에 따라 자율적으로 시장에서 결정돼야 함에도 금감원이 증권신고서 정정을 요구하면서 사실상 공모가를 낮추려 한다는 지적이다.
한 증권사 IPO 담당자는 “신고서 정정 요구를 받은 기업 대부분은 미래 이익을 당겨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부분에서 정정 요구를 받고 있다”며 “금감원이 (공모가 하향 조정 압박은) 아니라고 설명하더라도 공모가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 역시 “금감원 의도가 어떠하든 시장은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에 대해 ‘공모가를 하향하라’는 시그널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며 “금감원이 나서서 공모가에 개입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금감원은 최근 투자 경험이 없는 개인 투자자가 IPO 공모주 시장에 대거 유입하면서 투자자 보호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감원이 공모가 개입을 위해 신고서 정정 요청을 하진 않는다. 다만 증권신고서 기재 사항을 꼼꼼히 들여다보고 새로 유입된 투자자들에게 투자 판단 근거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정정을 요구한다”며 “IPO를 하는 기업이 점점 늘어나 정정 요구 건수도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