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마켓in 허지은 박미경 기자] 통상 주가에 악재로 여겨지는 상장사 유상증자를 두고 금융당국의 심사가 까다로워지고 있다. 유상증자를 통해 마련한 자금을 부채상환이나 불필요한 인수합병(M&A)에 쓰이는 경우가 늘면서 소액주주들의 반발이 커지자 상장사 단속에 나선 것이다. 상장사도 대표적인 자금조달 수단인 유상증자를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한 신성장동력 육성이나 설비투자 등 목적에 맞게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
통상 유상증자는 기존 주주 가치 희석과 오너가의 경영권 방어 수단이라는 측면에서 악재로 여겨진다. 또 이자 등 부가적인 비용 부담 없이 현금을 수혈하기 때문에 유상증자가 기업이 이자 비용을 벌어들일 자신이 없단 시그널로 읽힐 경우 주가가 폭락하기도 한다. 실제로 최근 유상증자를 발표했던 기업들 대부분 주가가 떨어졌다. 특히 주주배정 외에 제3자배정과 일반공모 방식의 유상증자는 주주의 신주 인수권을 제한하기 때문에 주주가치 훼손 우려를 부른다.
전문가들은 자금조달의 기본적인 취지에 어긋나는 일부 기업들의 행태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일부 기업의 유상증자 목적을 살펴보면 투자금을 모집해 기업가치 제고에 쓰지 않고, 빚 갚는데 쓴다거나 대주주 이익을 위해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자금조달의 기본적인 취지에 어긋난다”며 “투자자 보호 측면에서 주주 가치 훼손이 이뤄지는 유상증자를 당국이 허락해줄 수는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