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업계에 따르면 도봉구 쌍문한양2·3·4차는 재건축 사업 준비를 위해 최근 컨설팅을 받은 결과 조합원당 3억 5000만원 안팎의 추가 분담금을 내야한다는 결과를 받아든 것으로 알려졌다. 전용면적 28~84㎡로 소형 평수가 주를 이룬 단지로 최근 시세가 28㎡는 2억 5000만원 안팎, 가장 큰 84㎡ 역시 5억원 초반에 머무르고 있다는 점에서 이같은 분담금은 상당한 부담이다.
서울 외곽지역에서 시세 대비 부담스러운 분담금에 정비사업 곳곳 먹구름이 드리운 가운데 선도지구에 선정된 1기 신도시 중 일산과 산본 등 상대적으로 사업성이 떨어지는 지역 재건축 단지들에도 이목이 쏠린다. 일산의 경우 기존 단지들의 평균 용적률이 169%로 낮고 대지지분은 20~30평에 이르러 사업성 자체는 양호하나 문제는 시세다. 일각에선 분담금을 3억원 이상으로 추정하는 가운데 최근 시세는 앞선 쌍문한양1차와 비슷한 전용 84㎡(강촌5단지) 기준 7억원 안팎을 보이면서다.
전문가들은 추가 분담금의 주요인으로 연일 고공행진 중인 공사비가 꼽히는 만큼 이를 낮추는 노력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이윤홍 한국건설관리학회 계약관리위원장은 지난 4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공사비 인상의 주요인으로 △주 52시간 근로제 도입 △중대재해 처벌법 강화 △콘크리트 타설 규제 △현장근로자 인건비 상승 등을 꼽으면서 이에 대한 완화를 정부에 요구했다.
권대중 서강대 일반대학원 부동산학과 교수는 정부가 용적률 상향에 보다 유연할 필요가 있다고도 했다. 그는 “법정 용적률 범위 내에서 허용 용적률을 탄력적으로 적용해 수익성을 개선해 줄 필요가 있다”며 “특혜 시비가 있을 수 있는만큼 가령 용적률을 20% 올려주면 10%는 공공기여를 하도록 하면 된다. 단 공공기여도 너무 많이 요구하는 현실도 개선돼야 한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