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씨가 땅을 사겠다고 나섰다. 이에 A씨는 2022년 12월에 보유한 토지의 절반을, 이듬해 1월에 나머지 절반을 B씨에 각각 9억원씩 받고 팔았다. 양도세로는 4900만원을 신고했다.
하지만 국세청은 1억 9000만원의 세금을 내는 게 맞다며 차액인 1억 4100만원을 추징했다. A씨의 계산은 왜 틀렸을까.
16일 국세청에 따르면 A씨처럼 농지를 8년 넘게 보유하면서 절반 이상을 직접 경작한 농지를 팔 때엔 양도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거주자가 농지소재지에 거주하고, 농지인 상태로 팔아야 하는 등의 요건을 충족하면 된다.
그런데 A씨는 이 ‘감면 한도’를 활용해 세금을 줄이려다 덜미 잡혔다. 일부러 동일인에게 연말연초에 토지를 절반씩 쪼개 팔았기 때문이다.
국세청은 A씨와 B씨가 작성한 매매계약서상의 1차 거래 잔금일은 2022년 12월, 2차 거래 잔금일은 2023년 1월로 기재돼 있지만 1~2차 거래의 매매대금 잔금이 2023년 1월에 한 번에 입금된 사실을 확인했다. 또한 “토지를 분할해 거래할 뜻이 없었는데 A씨가 요청해 매매계약서를 두 개로 나눠 작성했다”는 B씨의 진술도 확보했다.
국세청은 “둘 이상의 행위·거래를 거치는 방법으로 조세를 부당하게 감소시킨 걸로 인정되는 경우 하나의 행위·거래로 보아 과세되므로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