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이지은 기자] 여성가족부와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은 14일 대학생 폭력예방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 전담 컨설팅단’을 구성하고 대학 폭력예방교육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내 여성가족부의 복도 모습. (사진=연합뉴스) |
|
여가부에 따르면 현행법상 대학에서는 성폭력, 가정폭력 예방교육을 연 1회 1시간 이상씩 각각 의무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여가부에 따르면 대학생 폭력예방교육 참여율은 2021년 52.7%에서 2022년 54.7%, 2023년 58.2%로 꾸준히 상승하고 있지만, 전체적인 수준은 여전히 아직 낮은 편이다.
이에 여가부는 지난해 발표한 ‘교제폭력 피해자 보호·지원 강화 방안’의 후속 조치로 양평원과 함께 대학 전담 컨설팅단을 신규 구성한다는 방침이다. 대학 전담 컨설팅단은 대학 교육 담당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공동체(커뮤니티)를 통해 교육 운영을 지원하고 교육 대상·방법 및 실적관리, 대학 우수 사례 등이 담긴 교육 운영 안내서를 제작하는 역할을 할 예정이다.
또 △폭력예방교육 이수 졸업 요건 포함 △폭력예방교육 이수 시 장학금 마일리지 부여 △대학생 참여 폭력예방 캠페인 실시 등 대학 우수사례도 발굴하기로 했다. 신종범죄를 포함한 15종의 대학생 맞춤형 폭력예방교육 콘텐츠를 각 대학에 제공하고, 교제폭력 등 신종폭력까지 포함한 대학생 대상 ‘찾아가는 폭력예방교육’도 지난해 대비 50회 더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교육부와는 대학 대상 합동 현장 상담을 함께 진행해 대학의 폭력예방교육 참여를 독려하고 현장 건의사항 등을 청취해 정책에 반영키로 했다.
조용수 여성가족부 권익증진국장 전담직무대리는 “교육부 및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대학 인권센터 등과 협업해 대학생 폭력예방교육 참여율을 높여 나갈 것”이라며 “최근 심각해지고 있는 교제폭력 및 디지털성범죄 등 폭력예방 인식 확산을 위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