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윤지 기자]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18일(현지시간) 미국과 선의로 무역 협상을 진행하지 않는 국가에 대해 “4월 2일 발표됐던 고율 관세율이 적힌 서한을 받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 (사진=AFP) |
|
베센트 장관은 이날 미 방송 NBC ‘밋더프레스’에 출연해 “협상을 원하지 않는다면 관세율이 지난 4월 2일 수준으로 높아질 것”이라면서 이처럼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일을 미국 ‘해방의 날(Liberation Day)’이라고 명명하고 국가별 상이한 상호관세를 발표했다. 상호관세는 지난달 9일 부과됐으나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발효 13시간 만에 중국을 제외하고 모든 국가에 대해 90일 유예 결정을 내렸다. 이후 영국과 중국이 무역 협상을 진행했으며, 145%까지 치솟았던 대중국 관세는 이달 10~11일 스위스 제네바 고위급 무역 협상을 거쳐 30%로 일시적으로 인하됐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 같은 강경한 발언은 관세 협상이 얼마나 난항을 겪고 있는지 보여준다”면서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각국들이 미국과의 협상을 서두르고 있다고 말한 것과 차이가 있다”고 짚었다.
베센트 장관은 이날 방송에서 국제신용평가회사 무디스가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강등한 것에 대해 “무디스는 후행 지표”라고 반박했다. 신용평가사들이 등급을 조정하는 시점에는 이미 모든 것이 시장에 반영됐다는 의미다. 그러면서 베센트 장관은 이번 등급 강등이 조 바이든 전임 행정부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가 전임 행정부의 재정적자를 물려받았다면서 정부 지출을 줄이고 경제 성장을 촉진해 부채 문제에 대응하겠다고 부연했다.
그는 대형 유통업체 월마트의 더그 맥밀런 최고경영자(CEO)와 전화통화했다고도 밝혔다. 관세 여파로 소매 가격 인상이 예상되는 상황으로, 베센트 장관은 “맥밀런 CEO가 과거에 그랬던 것처럼 월마트는 관세 인상에 따른 비용 일부를 감수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말했다. 베센트 장관은 “맥밀런 CEO와는 좋은 관계”라고 월마트에 대한 압력 의혹에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