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준은 올해 들어 기준금리를 4.25~4.50% 수준에서 동결하고 있다. 이는 미국 경제의 전반적인 강세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따른 불확실성을 고려한 조치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수의 무역 상대국에 대해 기본 10%의 관세를 부과했으며, 일부 중국산 제품에는 30% 이상의 고율 관세를 적용하고 있다. 최대 50%에 달하는 상호관세는 7월까지 유예된 상태이지만, 만약 10%까지 낮춰지지 않을 경우 물가 상승 압력이 다시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날 인터뷰는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 감세 법안’이 하원에서 가까스로 통과된 직후 이뤄졌다. 해당 법안은 1기 당시의 감세 조치를 연장하고, 부채 상한을 늘리는 동시에 재정적자를 확대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그는 또 최근 미 국채 시장에서 장기물 중심의 매도세가 확산되는 것과 관련해 “시장 참여자들이 공화당의 세제 법안에 기대했던 만큼의 재정 긴축이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월러 이사는 최근 국채 금리 급등의 원인에 대해 “금융시장 관계자들로부터 공화당의 감세 법안이 기대했던 만큼의 재정 긴축 효과를 내지 못할 것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며 “시장에서는 보다 강력한 긴축을 예상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