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협의는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1일까지 진행된 1차 협의 이후 19일 만에 열린 것으로, 6월 3일 대통령 선거를 앞둔 상황에서 한국 현 정부가 참여하는 마지막 대면 협상이 될 가능성이 크다.
양국은 △균형 무역 △비관세 조치 △경제안보 △디지털 교역 △원산지 △상업적 고려 등 여섯 가지 핵심 분야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 중이다. 이는 지난 16일 제주에서 열린 한미 통상장관 회담의 후속 조치다.
이를 위해 한국은 미국산 제품 수입 확대를 통한 무역 균형 개선 노력과 조선업을 중심으로 한 전략적 산업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관세 인하의 필요성을 설명할 계획이다.
반면 미국은 관세 인하를 위해 한국이 비관세 장벽을 해소하고, 미국산 제품 수입 확대 등으로 무역수지를 개선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미국 측이 협상 과정에서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제시할지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협의에서는 미국이 이들 사안을 포함해 어떤 비관세 장벽 관련 요구를 내놓을지, 그리고 한국이 구상 중인 협상 일정에 미국이 동의할지 여부도 주요 관심사다.
한국 정부는 7월 8일로 예정된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종료 시점에 맞춰 ‘7월 패키지’ 형태로 양국 간 조율안을 도출하자고 제안한 상태다. 이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최종 서명을 목표로 한다.
한편,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지난 18일 “각국이 성실히 협상에 임하지 않을 경우 4월 2일 발표된 국가별 상호관세율을 그대로 적용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특정 국가를 지목하지는 않았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조속한 협상 타결을 통해 국내 성과로 홍보하려는 의도가 읽힌다는 분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