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완화되는 듯했던 관세 갈등을 다시 자극하는 트럼프 발언에 투심이 다시 악화됐다. 투자자들은 상호관세 3개월 유예 기간 중 미국이 여러 국가와 추가 협상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하며 매수에 나섰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다시 관세 수위를 올리려는 움직임에 기대가 빗나가고 있다.
|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날 내달 1일부터 유럽연합(EU)에 50% 관세 부과를 압박했다. 그는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EU와의 협상은 아무런 성과도 거두지 못하고 있다”면서 이처럼 밝혔다. 그는 “무역에서 미국을 이용하려는 주된 목적으로 설립된 EU는 매우 어려운 상대”라면서 “강력한 무역 장벽, 부가가치세(VAT), 터무니없는 기업 처벌, 비통화적인 무역 장벽, 통화 조작, 미국 기업에 대한 불공정하고 정당하지 않은 소송 등으로 인해 미국과의 무역 적자는 연간 2억 5000만달러(약 3440억 원)가 넘는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는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수치”라고 부연했다.
이후 기자회견에서도 그는 50% 관세 경고와 관련해 협상 여지가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협상하려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조건을 정하는 것”이라며 “그것은 50%”라고 잘라 말했다. 그러면서 “EU 기업이 미국 내에 공장을 짓는다면 관세는 없다”는 기존 입장을 반복했다.
EU가 이 조치에 대응할 방안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무슨 일이 벌어질지 보자”며 말을 아꼈고, “현재 계획대로라면 6월 1일부터 관세는 시행될 것이다. 그게 지금 상황”이라고 밝혔다.
“애플 해외생산제품에 25% 관세..삼성전자도 해당”
애플 주가는 3.02% 빠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소셜미디어에 “미국 내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은 반드시 미국에서 제조돼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최소 25%의 관세를 애플이 부담해야 한다”고 밝힌 영향 때문이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특정 기업을 직접 겨냥해 관세부과를 언급한 첫 사례다.
그는 해당 수입 관세가 “적절하게 시행될 것”이며 6월 말까지 준비될 것이라고 덧붙였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이는 이들 기업이 제품 생산을 미국으로 이전하도록 압박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아시아에 집중된 스마트폰 생산기지를 정면으로 겨냥한 이번 발언은, 애플뿐만 아니라 삼성전자 스마트폰 사업에 대한 ‘직격탄’이자 최대 위협으로 떠오르고 있다.
로스 메이필드 베어드(Baird) 투자전략가는 CNBC 인터뷰에서 “지난 6주간 시장은 관세 완화 기대라는 순풍을 등에 업고 매우 강한 상승세를 보였다”며 “무역전쟁 수위가 다시 높아질 경우 상황이 악화될 수 있으며, 이번 조치는 시장 입장에서는 분명한 역풍”이라고 말했다.
관세 문제가 다시 수면위로 올라가면서 기술주들은 일제히 하락했다. 메타(-1.49%), 알파벳(-1.39%), 엔비디아(-1.16%), 마이크로소프트(-1.03%),아마존(-1.04%) 테슬라(-0.5%) 등 일제히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