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와 트럼프 대통령 둘다 ‘상호 무역’이란 표현을 사용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사실상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s)를 의미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 선거 운동에서 미국이 무역 적자를 내는 무역 상대국들을 언급하면서 “호혜적이고 공정한 무역”을 위해 상호 관세를 주요 공약 중 하나로 내세웠다.
상호 관세는 한 국가가 다른 국가와 동등한 조건을 맞추기 위해 시행하는 조치로, 일반적으로 무역 상대국의 관세를 달러 단위로 동일하게 부과하는 방식이다. 한 국가가 다른 국가로부터 관세를 부과받았을 때 이에 대한 대응 조치로 이뤄지는 보복 관세와는 차이가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는 특히 유럽연합(EU)의 부가가치세를 공격 대상으로 한다고 짚었다. EU 회원국 평균 표준세율은 21%로, EU는 부가가치세 표준세율을 15% 이상으로 규정하도록 부가가치세 지침을 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일 트럼프 대통령은 4일부터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중국에 대한 10%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시행 전일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와 멕시코 정상들과 각각 통화해 국경 안보를 강화한다는 약속을 받아낸 후 시행을 한달 유예했다. 중국의 경우 10% 보편 관세가 발효됐으나 이날 트럼프 행정부는 새로운 행정명령을 통해 소비자가 직접 배송 받는 소액 상품에 대해선 면세 조치를 유지하기로 했다.
미 방송 CNN은 “트럼프가 상호 관세 정책을 추진할 경우, 해당 국가들이 보복 관세를 부과하는 도미노 효과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이로인해 무역 전쟁이 촉발될 수 있으며, 점점 더 높은 세금이 부과되는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경제학자들은 최종적으로 그 비용을 부담하게 되는 것은 소비자들이라고 우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