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의원은 “마땅히 정치권에서 해야 할 사과를 하겠다고 생각했다”며 “장애인의 권리 보장을 위한 목소리에 대한 사과, 그때그때 세심히 챙기지 못한 정치권의 사과도 있겠지만 정치권에서 제대로 책임지지 못한 일로 시민들이 출근 시간에 불편함을 겪고 화난 것에 대해 당연히 정치권에서 사과를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지난 25일부터 자신의 SNS를 통해 전장연의 출근길 지하철 시위와 관련해 “전장연은 독선과, 자신들이 제시하는 대안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서울시민을 볼모삼아 무리한 요구를 할 수 있다는 아집을 버려야 한다”는 등의 비판을 이어나가고 있다.
이를 들은 진행자가 “당 대표를 만나서 설명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고 하자 김 의원은 “그분이 이런 내용을 몰라서 그런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김 의원은 “설명보다는 본인이 자각하시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인 것 같다”며 장애인들이 이동권 보장만을 위해 나선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동할 수 있어야 교육이 가능하고 교육이 가능해야 일자리를 가질 수 있다. 일자리를 가져야 국민으로서 떳떳하게 세금을 내고 의무를 다할 수 있다”며 “이동은 국민이라면 누구나 걱정 없이 당연하게 누려야 할 헌법이 정한 권리인데 이것을 누리지 못하고 있는 분들의 목소리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 “윤석열 당선인이 후보 시절 내세웠던 장애인 공약 중 제1 공약도 이동권 확대였다”며 “이런 것을 국정과제로 가져가기 위해서 이러 이러한 로드맵을 설정하겠다라는 약속을 하고 그 약속을 지키도록 노력하는 게 더 중요하다”고 인수위에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