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공기관인 신용보증재단중앙회가 차기 회장 인선 절차에 재착수했다. 중기부 산하 다른 공공기관들의 인선이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 이후 멈춘 것과 대조적이다. 중기부 안팎에서는 조기 대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무리한 인선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 신용보증재단중앙회 세종 사옥 전경. (사진=신용보증재단중앙회) |
|
17일 중기부에 따르면 신보중앙회는 지난 6일 차기 회장 초빙공고를 게재하고 공개모집에 나섰다. 지원기간은 오는 20일까지이며 회장추천위원회의 서류 및 면접심사를 거쳐 최종 후보를 선발한다. 심사를 통과한 후보자들은 신보중앙회 이사회를 거친 뒤 중기부에 추천된다. 중기부 장관은 최소 2명 이상의 후보자 중 한 명을 회장으로 임명한다.
통상 심사부터 임명까지는 최소 3개월이 소요된다. 이 같은 절차와 시기를 고려할 때 이번 공모 시점은 의아하다는 반응이 지배적이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이 마무리 수순에 들어가면서 5월 초 조기 대선 가능성이 높아져서다. 차기 정부가 들어선 후 산하기관장 인선 절차를 밟는 게 정상 수순이라는 지적이다.
실제 중기부 산하 다른 공공기관들은 인선 절차가 모두 중단됐다. 현재 기관장 임기가 만료되거나 공석인 산하기관은 기술보증기금, 창업진흥원, 신보중앙회, 한국벤처투자(KVIC), 공영홈쇼핑 등 5곳이다. 이들 중에는 대통령실 인사 검증을 마무리하고 후임을 내정한 곳도 있으나 계엄 사태 이후 후속 절차가 기약 없이 미뤄졌다.
신보중앙회 역시 계엄 여파로 한 차례 인선 절차를 중단했다. 앞서 지난해 8월 회장 공모에 나섰던 신보중앙회는 지난 연말 계엄 사태를 거치며 절차를 전면 취소했다.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재공모에 나섰다는 점에서 업계 안팎의 의혹을 더욱 키우고 있다.
관가의 한 관계자는 “신보중앙회는 작년 8월 공모 이후 낙하산 인사를 내정했던 것으로 안다”며 “계엄 사태를 거치며 무산됐는데 최근 다시 공모에 나선 이유를 모르겠다”고 전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탄핵 정국으로 인해 대통령실이 제 기능을 못하고 있어서 당장 기관장 공모에 나서더라도 인사 검증 절차를 진행하기 어렵다”며 “조기 대선을 한다면 차기 정권에서 인사를 추천하려 할텐데 리스크가 크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신보중앙회 측은 이에 대해 “작년 공모 절차는 전면 취소됐다”면서도 재공모에 나선 이유에 대해서는 답변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