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월 의장은 이날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미국 경제가 전반적으로 강하며 고용 시장이 탄탄하다”며 “인플레이션이 완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연준의 목표치인 2%를 웃돌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런 상황에서 연준이 통화정책을 완화하기 위해 서둘러 움직일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의 정책 기조가 이전보다 상당히 덜 제약적인 상태이며 경제가 여전히 강한 만큼, 우리는 정책 기조를 조정하는 데 있어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정책 긴축을 너무 빠르거나 과하게 완화하면 인플레이션 둔화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반대로 정책 긴축을 너무 늦거나 적게 완화하면 경제 활동과 고용이 지나치게 위축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진전이 있을 때까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의 윤곽이 명확히 드러날 때까지 금리를 계속 동결할 가능성이 높다는 신호를 보냈다. 파월 의장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 등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기존대로 “연준의 일이 아니다”며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았다.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지키는 게 더 중요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파월 의장의 이 같은 발언은 지난달 29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후 기자회견 때 밝힌 정책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그의 발언이 나온 이후 이날 국채 금리는 상승세를 유지했고 주가는 등락을 거듭했지만 큰 변동은 없었다.
CPFB 폐쇄 우려에 “다른 연방규제기관에 언급 못해”
파월 의장은 ‘누가 소비자 규정 의무를 관리하냐’는 워런 의원의 질의에 “다른 연방 규제기관에 관해 언급할 수 없다”며 선을 그으면서도 광범위한 은행 시스템은 안전하다고 언급했다.
또 은행재무건전성을 규제하는 ‘바젤 III 최종안(Basel III Endgame)’이 트럼프 행정부에서 완화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과 관련해 “이를 완수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외국 은행이 무너질 수 없는 글로벌 표준이 있다는 것은 미국 은행에도 좋고 우리 경제에도 좋은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파월 의장의 발언은 이번 주 의회에서 진행되는 두 차례의 청문회 중 첫 번째 자리에서 나온 것이다. 그는 화요일 상원 은행위원회에서 발언한 데 이어, 수요일에는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에 출석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