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자원봉사의 한자 풀이를 해보면 ‘스스로 자(自), 원할 원(願), 받들 봉(奉), 섬길 사(仕)’다. 단지 남을 도와준다는 의미를 넘어선 무언가 다른 의미가 한자에 내포돼 있는 것 같다”며 “제가 지난 1년간 느낀 자원봉사는 ‘난제(어렵다), 심오(그 의미와 뜻이 깊다), 등불(암울한 시대에도 미래를 밝혀주는 빛)’이라는 세 단어로 정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9000명 넘는 자원봉사자…‘양’보다 ‘질’ 중시
공단의 자원봉사자 수는 2023년 약 7000명에서 현재 9000명이 넘는 수준으로 증가했다. 기부 활동도 함께 늘면서 보호대상자 지원이 확대되고 있다.
그는 “지역별 자원봉사자들의 교류와 단합을 위해 자발적인 협의회 운영을 강조하고 있다”며 “보호위원(자원봉사자 명칭)들도 즐거운 마음으로 봉사를 하면서 자긍심과 보람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
공단 자원봉사자들은 의무 교육에도 긍정적으로 반응하고 있다. 황 이사장은 “교육을 실시하면 자원봉사자들이 오히려 더 좋다고 말한다”며 “자원봉사를 하는데 교육까지 받아야 하나 생각할 수도 있을 텐데 오히려 너무 좋았다고 한다”고 전했다.
자원봉사자 외에도 기업들의 후원이 공단에게는 큰 힘이 되고 있다. 2024년 한 해 동안 공단은 KT&G(033780), 농협중앙회, 한국전력기술, 한국교통안전공단, KT(030200) 등 다양한 기관들과 협력했다. 특히 김천혁신도시 내 소재한 한국교통안전공단과 한국전력기술은 김천 지역 학생들을 위한 공부방 개설 등 다양한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황 이사장은 자원봉사가 단순 활동을 넘어 전문성이 인정되는 분야로 발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원봉사자들이 전문 영역에서 보호대상자들에게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는 “자원봉사자와 공단, 그리고 보호대상자가 더 밀접하게 연결되고 서로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며 “이를 위해 자원봉사자들의 활동 영역을 확대하고 전문성을 높이는 데 더욱 노력하겠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