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변화에 뒤떨어진 호봉 임금제도의 문제점은 근래 수없이 지적돼 왔다.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노동연구원에 따르면 한국은 연공에 따른 임금 책정이 지나칠 정도다. 유럽 국가들보다 더한 것은 물론이고, 일본보다 더 심하다. 한국에서 30년 이상 근속 근로자는 1년 미만 신입자보다 4.4배나 많은 임금을 받는다. 15~19년차 임금도 신입 근로자보다 3.3배 많다. 20~30년 근속자 역시 신입의 2.83배다. 독일(1.88배) 프랑스(1.34배) 영국(1.49배) 같은 유럽 강국들은 물론 연공임금 전통이 오랜 일본(2.54배)보다도 많다.
회사 분위기가 보수적이라는 평을 듣는 롯데가 임금제도를 바꾸기로 한 것은 절박함의 발로로 평가된다. 그만큼 요즘 국내 기업들의 사정이 좋지 않다. 때마침 이번 대통령 선거전에서도 고용, 노동과 임금 문제가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정년연장 혹은 퇴직 후 계속 고용’ 문제가 좀 더 부각되고 있지만, 직무급과 성과급까지 포함해 고용과 근로 방식, 임금 전반에 걸쳐 유연성을 강화해야 한다. 일부 공기업들처럼 겉으로는 직무급제로 가면서도 실제로 임금 차등화는 미미한 무늬만의 직무급, 형식적 성과급제는 큰 의미가 없다. 젊은 MZ 세대를 급변한 노동시장에서 포용하려면 직무급제는 빠를수록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