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같은 예측과 달리 방미 외교 일정 후 대통령 지지율이 오히려 떨어지고 있는 가운데, 신 변호사는 이번 논란의 본질도 야권의 탄핵 공세로 규정했다.
신 변호사는 “이 현상에 숨은 근본적인 원인이 있다고 생각한다. 여권에서는 적폐 청산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고 야권에서는 어떻게든 이 적폐 청산을 그대로 놔둬선 안 되겠다. 또 나아가서 탄핵 정국을 어떻게든 마련해 보겠다는 그런 의도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신 변호사는 “대통령이 잠꼬대에서라도 이런 비속어를 사용했다면 국민한테 사과해야 된다”면서도 “비속어, 그 당시에 녹음한 것을 음성 분석을 해보니까 또 비속어를 사용한 것이 드러나지 않는다. 그 말이 들리지 않는다고 또 분석하는 그런 기류들이 또 유력하게 등장을 하고 있지 않느냐”고 되물었다. 전국민 과반이 “바이든”으로 들었다는 여론조사가 나오는 상황에서도 대통령이 “바이든”이라고 말하지 않았다는 여권 해명과 비슷한 맥락의 주장이다.
신 변호사는 “변호사님은 어떻게 들었느냐”는 사회자 질문에도 “저는 거의 안 들었다. 제가 전문가가 아니니까 그건 전문가의 판단에 맡겨놔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앞서 신 변호사는 김건희 여사 표절 논란 논문에 대해서도 “직접 보지 않았다”면서 주변인 의견을 인용해 “품격 갖춘 논문이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신 변호사는 다시 “MBC나 기자 데스크의 의도는 제가 보기에 결국은 하나의 목표. 탄핵 정국의 소송이란 목표로 나아가기 위한 발걸음이 아니었던가 생각을 한다”며 거듭 야권의 탄핵 기도를 주장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