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윤지 기자]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업체인 대만 TSMC가 미국 반도체 기업인 인텔의 지분 인수를 고려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미국 내 제조업을 활성화하고 첨단 기술 분야에서 미국의 주도권을 유지하려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압박에 따른 것이다.
 | 대만 TSMC 로고(사진=로이터) |
|
1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인용한 소식통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 관계자들은 최근 TSMC과의 만남에서 이 같은 방안을 제시했고, TSMC는 이에 대해 수용적이었다. 트럼프 행정부는 TSMC가 인텔의 지분을 사들여 미국 내 인텔의 반도체 공장을 운영하길 기대하고 있으며 재정 위기에 빠진 인텔 역시 우려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소식통은 미국의 주요 반도체 설계업체들이 미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TSMC와 함께 인텔 지분을 인수하는 방안도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미국 기업을 대만에 넘겨준다는 의미로 해석되면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시도처럼 정치권의 반대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백악관 당국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인텔의 공장을 운영하는 외국 기업을 지원할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이 같은 논의는 초기 단계로, TSMC와 인텔이 정확히 어떤 형태의 파트너십을 맺을지는 정해지지 않았으며 인텔이 이 같은 논의에 열려 있는지도 불분명하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한때 반도체 시장 강자였던 인텔은 엔디비아 등 인공지능(AI) 칩 제조업체들과 경쟁에서 뒤처지면서 시장에서 설 자리를 잃었다. 개발과 설비 등을 위해 막대한 자금이 필요한 시점에 실적 악화에 따른 재정난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대대적인 구조조정 계획을 발표했으며, 팻 겔싱어 최고경영자(CEO)도 사임했다.
전일 중국시보 등 대만언론에서도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인텔과 협업하도록 TSMC를 압박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소식통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TSMC에 △TSMC의 첨단 패키징 미국 공장 건설 △미국 정부 등과 함께 인텔 파운드리 투자 △인텔의 TSMC 미국 고객사 관련 후속 패키징 주문 직접 인수 등을 3가시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중국시보는 TMSC가 인텔의 지분을 인수한다면 “재산을 탕진하는 것”이라고 표현했다. TSMC의 연구개발(R&D) 인력의 약 30%가 미국으로 가야 할 뿐만 아니라 인텔의 1.8나노(18A) 반도체가 성공적으로 양산되면 TMSC의 주요 2나노미터(㎚·10억분의 1m) 고객들의 주문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TSMC의 기술 유출 우려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