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6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했다. 두 정상은 관세 협의와 관련해 “양국이 모두 만족할 수 있는 합의가 조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기로 했다”고 대통령실 대변인이 밝혔다. 이를 위해 실무 협상에서 가시적 성과가 나오도록 독려하기로 했다. 두 정상이 ‘조속한 합의’에 의견을 모은 것은 바람직하다. 이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국익 중심의 실용 외교’를 펼치겠다고 말했다. 세계 최대 경제국과 원만한 통상 관계를 유지하는 것만큼 중요한 국익은 없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협상 조기 타결을 자신의 치적으로 삼고 싶어한다. 이미 영국은 협상을 마무리지었다. 지난달 제네바 회담에서 관세 휴전에 합의한 중국은 시진핑 국가주석이 5일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가진 데 이어 9일 런던에서 후속 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일본도 이달 초 5차 협상을 마치는 등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일본은 협상 타결 시점으로 이달 15~17일 캐나다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염두에 두고 있다. 일본은 우리와 대미 경제·안보 구조가 비슷하다는 점에서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
이제껏 우리는 대선을 앞두고 속도를 조절해왔다. 4월 하순 양국 재무장관이 이끄는 ‘2+2’ 고위급 협의에서 ‘7월 패키지’에 공감대를 형성했고, 이어 5월 20~22일 2차 기술협의를 진행했을 뿐이다. 이제 새 정부가 출범했으니 협상에 속도를 붙일 때가 됐다. 마침 이 대통령은 캐나다 G7 회의에 초청을 받아 국제 외교 무대에 데뷔한다. 이때 트럼프 대통령을 만날 기회가 있을 것이다. 빠듯한 시간을 고려할 때 완전 타결은 아니더라도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정상 간 만남이 이뤄지는 게 좋다.
4월 협의를 마친 뒤 미국 측은 한국이 ‘A 게임’(최상의 안)을 가져왔다고 반색했다. 당시 우리 협상팀은 세계 최고 수준의 K조선이 미국의 낙후한 조선업을 보강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중국과 해양패권을 다투는 미국의 가려운 곳을 긁어준 셈이다. 원전, 에너지, 인공지능(AI) 등도 양국이 ‘윈윈’할 수 있는 분야다. 대미 협상은 양국 경제 관계를 한단계 업그레이드할 기회다. 능동적으로 협상에 임하는 것이 국익에 부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