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같은 집값 오름세 확산은 부동산 정책 혼선, 금융완화 기조, 경기부양 기대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서울시가 강남 지역에 대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2월 일부 해제한 뒤 불과 한 달여 만에 확대 재지정한 조치는 부동산 시장을 불안정하게 만들었다. 부동산 정책이 오락가락하면 투기심리가 커지기 마련이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10월 이후 지난달까지 네 번 연속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등 금융완화 흐름이 이어지는 것도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여기에 이재명 정부의 집권 초기 경기부양 정책에 대한 기대감도 집값 상승을 자극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초동 대응이 중요하다. 다음 달부터로 예정된 3단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차질 없이 시행하고, 고가 아파트에 대한 주택담보대출 규제 재도입과 토지거래허가구역 추가 지정도 필요하다면 망설이지 말아야 한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만성적인 주택공급 부족이 집값 상승의 중장기 배경임에 주목해 획기적인 주택공급 확대 방안을 내놓아야 한다. 정부가 늦기 전에 이런 양면 정책에 팔을 걷고 나설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