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박일경 기자] 세월호 참사 당일 해양경찰 교신기록 원본을 확보한 `세월호 참사 특별수사단`(이하 특수단)이 구조 부실 의혹과 관련해 군(軍)과 수사 공조도 추진하고 있다.
특수단 관계자는 24일 “해경 압수수색 과정에서 교신기록 원본 등 수사상 필요한 자료를 확보했다”며 “군 검찰과도 진상 규명을 위해 공조 수사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특수단은 지난 22일 인천에 있는 해경 본청과 전남 목포의 서해지방해경청, 목포·완도·여수 해양경찰서 등 10여 곳에 대한 동시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세월호 참사 당시 구조 현장 지휘선인 목포해경 소속 3009함 또한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됐다.
TRS에는 세월호 참사 당일 해경 구조 주체들이 상호 교신한 내역이 초 단위로 기록돼 있다. 해경의 내부 소통 내역이 고스란히 담겨있어 구조 실패 여부를 확인할 핵심 단서로 지목돼 왔다. 해경도 이를 우려해 지금까지 이 기록 원본을 공개하는 일을 꺼려왔다.
|
이와 함께 특수단은 사회적 참사 특별조사위원회(사참위)에 이어 군 검찰과의 공조 역시 추진하고 있다. 해군전술정보처리체계(KNTDS)에 남아 있는 영상 등 상당수의 자료가 군사기밀과 얽혀있어 국방부 협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검찰은 해군이 세월호 참사 당일 및 이후 수색과 구조 과정에서 제대로 대응을 했는지 조사할 방침이다. 다만 특수단은 “군 관련 시설을 압수수색한 사실은 없다”고 전했다. 현재 특수단은 해경으로부터 확보한 압수물 분석에 주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