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가에선 이 후보의 공약집에 정부조직개편안이 담길지 촉각을 곤두세워왔다. 이 후보가 지난달 27일 기재부 관련해 “정부 부처의 왕노릇을 하고 있다는 지적이 상당히 있다. 지나치게 권한이 집중돼 남용의 소지가 있다”고 집권 시 조직 개편을 시사하고, 당 안팎에선 기재부 해체론을 포함한 조직개편론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기 때문이다.
특히 기재부와 관련해서는 민주당 집권 시 예산 기능을 분리해 별도의 조직을 두는 방안이 유력하게 점쳐졌다. 재정경제부가 경제정책을 총괄하고 국무총리실 산하의 기획예산처가 예산 편성 기능을 맡았던 이명박 정부 이전처럼 권한을 분산하는 형태다.
일단은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지만 대선 후 조직개편에 관한 시나리오를 두고는 기재부 내부에서도 전망이 엇갈린다.
먼저는 이 후보의 공약 제외에 ‘기재부 현상유지론’이 흘러나온다. 한 관계자는 “인사권자가 되면 내부진통이 뒤따르는 조직개편을 하기 보다는 의사소통이 잘 되는 장관을 임명하는 게 조직 통솔에 유리하다고 볼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도 “정치권은 하반기부터 내년 6월 지방선거 준비에 들어가야 한다”며 “정부조직개편이 계속 후순위로 밀릴 수 있다”고 힘을 실었다.
정부 관계자는 “이 후보가 ‘기재부 개편’ 여론몰이를 해온 같은 당 의원에 자제를 요구했다더라”며 “일단은 대선부터 치르고 결정을 내리지 않을까 싶다”고 했다.
이 후보의 침묵과 달리,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정부조직개편을 전면에 내세웠다. 이 후보는 현 19개 부처를 13개 부처로 축소 개편하면서 국무총리실 산하에 예산기획실을 신설해 예산 편성 기능을 이관하고 기재부는 재정경제부로 바꾸겠다고 약속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정부조직개편 없이 윤석열정부의 조직을 그대로 승계한단 구상으로 전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