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최영지 기자]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 확대 재지정한 후 15억원을 초과하는 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구와 서초구, 송파구 등 강남3구와 용산구 아파트가 모두 토허구역으로 묶이면서 거래량이 크게 감소한 탓이다.
 | 서울시 한강변 아파트 전경. (사진=연합뉴스) |
|
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집계된 올해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신고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시가 토허구역을 강남3구와 용산구로 확대한 3월24일 이후 현재까지 신고된 아파트(1만563건)중 15억원 초과 거래 건수는 비중은 전체의 19.0%를 차지했다.
이는 공공기관이 매수한 거래(385건)는 제외한 것으로, 올해 1월부터 강남 토허구역이 일시 해제됐던 3월23일까지 15억원 초과 비중이 33.0%였던 것과 비교해 14%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15억원 초과 고가 아파트 거래가 줄어든 것은 토허구역이 강남3구와 용산구 아파트 전역으로 확대되면서 고가 아파트가 밀집한 이들 지역의 거래가 크게 감소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실제 강남구의 경우 2월 597건, 3월에는 835건에 달했던 거래량이 4월 들어 106건으로 급감했다. 5월 들어 거래가 다소 늘긴 했지만 현재까지 신고 건수가 105건에 그친다. 5월 거래된 아파트의 신고 기한은 이달 말까지다.
토허구역 해제로 거래량이 급등했던 송파구도 2월 720건, 3월 903건이던 거래량이 4월에는 126건으로 크게 줄었다. 지난달 역시 신고 건수가 122건으로 집계됐다. 금액대별로는 15억원 초과∼30억원 이하가 올해 들어 3월 토허구역 일시 해제 기간까지 전체 거래량의 25.8%를 차지했으나 토허구역 확대 이후에는 16.3%로 10%포인트 가까이 감소했다.
또 30억원 초과∼50억원 이하 비중은 6.0%에서 2.2%로, 50억원 초과는 1.2%에서 0.6%로 각각 줄었다.
100억원 이상 초고가 아파트 거래량도 조사 기간 11건에서 4건으로 감소했다.
고가 아파트 거래 감소로 인해 15억원 이하 거래 비중은 67%에서 81.0%로 커졌다. 토허제 확대 이후 거래된 서울 아파트의 10건 중 8건 이상이 15억원 이하인 셈이다.
조사 기간에 9억∼15억원 이하 거래 비중은 32.2%에서 33.4%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6억∼9억원 이하 중저가 아파트는 20.6%에서 27.4%로, 6억원 이하는 14.2%에서 20.1%로 각각 비중이 확대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