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비는 치솟고 지방을 중심으로 분양시장은 위축돼 중견 건설사들의 자금 압박이 심해지는 딱한 현실은 충분히 짐작된다. 자금을 빌려서 사업을 추진하는 프로젝트파이낸싱(PF)의 돈줄이 막힌 지 오래다. 고공 행진하는 원자재와 인건비는 옆에서 봐도 아찔할 정도다. 수도권 외곽과 각 지방, 비(非)아파트 시장에서의 부동산 침체로 인해 공사대금이 회수되지 않는 게 특히 큰 어려움으로 꼽힌다. 과잉 공급 지적이 나온 지식산업센터, 생활숙박시설, 오피스텔 시장이 부진해지면서 부채비율이 200%를 웃도는 기업이 허다하고 이런저런 이유로 법적 다툼에 휘말린 곳도 적지 않다.
건설업은 전후방 생산유발효과가 크다. 일자리 연계성도 높다. 살릴 수 있는 기업까지 유동성 위기로 쓰러지게 하면 더 큰 손해가 온다. 금융 당국도 은행의 선의에만 맡겨 둘 게 아니라 자금 지원 등에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 2009~2010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처럼 기업구조조정촉진법을 활용해 뇌관이 더 커지기 전에 구조조정을 유도하고 추진해야 한다. ‘선제적 대응’이라고 하기에는 이미 어려울 정도의 상황이 됐다. 업계 스스로도 위기의식을 갖고 고강도 군살빼기에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