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1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자신이 대통령이 되면 우리 주식시장을 살려 국민들이 자산을 키울 수 있도록 하겠다는 공약을 내놨다.
이 후보가 내놓은 해법은 크게 두 가지다. 우선 공정한 시장 질서를 확립하겠다고 공언했다. 구체적으로 주가조작, 시세조종 등 불공정 거래 행위에 대해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도입해 한 번이라도 주가조작에 가담하면 다시는 주식시장에 발을 들일 수 없게 하겠다고 했다. 또 임직원과 대주주의 미공개 정보를 활용한 불공정 행위를 엄단하고 단기차익 환수를 강화하겠다고도 했다.
두 번째는 기업지배구조의 투명성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선 주주 이익 보호를 위한 상법 개정을 재추진한다고 밝혔다. 집중투표제와 감사위원 분리 선출, 자사주 소각 의무화 등도 제시했다.
하지만 이들이 공통으로 지적하는 문제도 있다. 이 후보가 제시한 방안이 규제 일변도라는 것이다. 당근책이 함께 제시돼야 4000피를 넘어 5000피 시대를 열 수 있다는 얘기다.
대표적인 것이 고질적으로 주가를 억누르는 원인이 되고 있는 높은 상속세율 인하다. 현행은 최고 세율 50%에 최대주주일 경우 가산세율 20%가 붙어 최대 60%의 상속세를 내야 한다. 그야말로 징벌적 세금이다. 그러다 보니 기업들이 승계 시기만 되면 상속세를 낮추기 위한 주가를 인위적으로 누르는 일이 반복된다.
손뼉도 마주쳐야 소리가 난다고 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는 정부가 혼자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실제 행위자인 기업들이 움직여야 한다. 그렇다면 기업들이 움직일 수 있는 동인을 줘야 한다. 이 후보가 내놓은 규제책과 함께 시장에서 원하는 당근책이 제시돼야 원하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이 후보는 그 누구보다 실용적인 인물로 알려져 있다. 자본시장 활성화와 5000피 시대를 열기 위해 이 후보의 실용성이 빛을 발하길 기대해 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