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부터 우리나라 경제가 저성장 국면에 진입함에 따라 기준금리는 네 차례 인하돼 3.50%에서 2.50%까지 낮아졌지만, 경기 동행지수와 선행지수의 개선세는 여전히 제한적인 상황이다.
이택근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경기 반등 모멘텀을 형성하기 위해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의 유지가 여전히 필요하다”며 “테일러 준칙을 이용한 결과 적정금리는 올해 3분기 2.29%, 내년 1분기 2.05%로 추정됐다”고 말했다.
우리 기준금리가 이미 완화적 구간에 진입해 있으며, 이같은 기조가 내년 1분기까지도 유지돼야 한다는 이야기다.
|
연구원은 대내외 여건 역시 완화적 통화정책에 우호적이라고 진단했다.
국내 거시경제 상황을 보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 내외에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내수 침체로 인한 수요 위축으로 추가 인플레이션 압력도 낮다고 봤다.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 정책도 통화정책 기조 유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평가됐다.
다만, 통화 완화 기조에 우호적인 여건을 이어가기 위해선 경기 회복과 금융안정이라는 두 가지 정책 목표가 상충되지 않도록 통화·재정 정책의 공조와 신중한 정책 운용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위원은 “성장 친화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가계부채 급증 등 금리 인하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면서 “향후 계절적·정책적 요인 등으로 인한 일시적 물가 불안에 대비한 미시 대응체계도 사전에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또 정부는 금리인하 시기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금융 취약계층에 대한 모니터링과 지원 방안 마련에도 힘쓸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