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전재욱 기자] 하이투자증권은 7일 최근 중국 정부 정책을 보면 미국과 무역협상이 장기화할 것을 대비하려는 움직임이 보인다고 분석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 2일 ‘중·미무역협상에 관한 중국의 입장’ 백서에서 “무역전쟁은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해주지 못할 것”이라며 “관세 인상은 미국 경제 성장을 이끌지 못할뿐더러 오히려 심각한 손해를 끼칠 것”이라고 밝혔다. 무역분쟁의 책임을 미국에 돌린 것으로 풀이됐다.
이를 두고 김상훈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지난달 제조업 PMI는 3개월 만에 기준선을 하회했고, 세부지표도 동반 하락했다”며 “이런 상황에서 중국은 백서를 발표해 무역분쟁 장기전을 대비하는 강한 의지를 보였다”고 평가했다.
김 연구원은 “현재 중국 기업은 모든 업종과 섹터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지난달까지 중국 기업 채무불이행 건수와 규모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지난해 동기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업 특성별로는 민영기업이, 산업별로는 중국 소비 양대 축인 부동산과 경기소비재(자동차)를 중심으로 이런 현상이 심각하다”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중국 정부는 사회융자총액으로 대표되는 유동성 공급과 부동산·자동차 분야 중심으로 감세 정책을 단행해 하반기 경기를 대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앞서 양회에서 발표한 2조 위안 규모 감세 정책 가운데 부가가치세는 4월부터, 사회보장비는 5월부터 시행했기에 부양 효과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부동산 등기비 감세와 차량 번호판 인가 확대 정책 등 취약 산업에 대한 대응책이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며 “인민은행 지준율 인하와 공개시장조작 수단인 금리 인하도 부양 카드 가운데 하나”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