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의 상승 거래 비중은 43.7%로 전월비 1.7%포인트 줄어들었다. 지방은 436%로 전월(43.5%)과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수도권을 나눠 보면 서울은 상승 거래 비중이 46.8%로 전월보다 2.9%포인트 하락했고, 경기는 42.5%로 0.7%포인트 하락했다. 인천은 43.6%로 1.0%포인트 상승했다.
지방에선 세종시의 상승 거래 비중이 뚜렷하게 증가했다. 세종시의 상승 거래 비중은 52.7%로 전월(45.3%) 대비 7.4%포인트 증가했다. 총 1197건의 거래 중 631건이 직전 거래 대비 오른 금액이 거래됐다. 이는 2023년 6월(53.2%) 이후 22개월래 최대 비중이자 4월 시도별 상승 거래 비중 중에서도 가장 높은 수치다.
김 매니저는 “세종시의 상승 거래 증가는 최근 공공기관 및 행정수도 이전 공약, 인프라 확충에 대한 기대감 반영으로 세종시 일대 실수요 및 투자 수요가 몰린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세종시는 그동안 올랐던 가격에 대한 부담 및 공급 집중 등으로 한동안 거래가 위축되며 가격 조정이 이뤄졌다”며 “저점 인식에 따른 매수세 유입 증가가 상승 거래 비중 확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김 매니저는 “(대통령실 등 이전 관련) 정책 실현 여부의 불확실성과 광역교통망, 자족 기능 등 구조적 과제도 여전한 부담이기 때문에 과거 사례처럼 단기 기대감이 장기 조정으로 이어졌던 전례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