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백악관 상황실에서 국가안보팀과 회의를 열고, 이스라엘-이란 무력 충돌과 관련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사진=AFP) |
|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회의를 위해 캐나다 앨버타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일정을 하루 앞당겨 귀국했으며, 귀국 직후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 상황실 회의를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언론들은 이번 회의에서 이란 핵시설을 겨냥한 미군의 직접 타격이나 이스라엘에 대한 군사 지원 등 미국의 직접 개입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CNN은 복수의 미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미군 자산을 활용해 이란 핵시설을 공격하는 데 점점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으며, 외교적 해법에는 냉담해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이란이 중대한 양보를 한다면 외교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하지만, 최근의 강경한 태도는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이 급격히 전환됐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의 은신처를 파악하고 있다며 “민간인과 미군을 향한 미사일 발사는 용납하지 않겠다. 우리의 인내심이 소진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이란은 무조건 항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 언론들은 또 트럼프 대통령이 이란의 지하 핵시설을 파괴할 수 있는 초대형 벙커버스터 폭탄(GBU-57)과 이를 투하할 수 있는 B-2 스텔스 폭격기의 이스라엘 제공 여부를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간 외교적 해법을 강조해왔으나, 지난 12일 이스라엘이 이란 핵시설과 군사기지를 기습 공격한 이후 입장을 바꿔 이스라엘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선회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