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4년 설립한 쓰리에이로직스는 21년간 NFC 칩 설계에 매진하면서 국산화에 성공한 유일무이한 기업이다. 차량용 디지털 열쇠를 비롯해 스마트 도어락, 물류 추적, 정품 인증 등 다양한 NFC 응용 분야에서 칩을 설계하고 있다.
|
자신감의 원천은 오는 2027년부터 유럽연합(EU)을 필두로 의무화되는 DDP 제도다. 새끼손톱보다도 작은 NFC 칩 안에 제품 정보를 담아 정품 인증 뿐만 아니라 제품의 물류 추적을 통해 제조사의 마케팅 자료로도 활용되는 등 범용성이 크다. 쓰리에이로직스는 현재 파마리서치 등 여러 기업에 NFC 칩을 납품하고 있다.
명품 패션을 비롯해 주류, 미용, 패션잡화, 아이돌 굿즈, 의약품, 위험물 용기, 상품권 등 적용할 수 있는 분야는 무궁무진하다. 글로벌 정품인증 시장만 해도 오는 2033년까지 연평균 12.5%의 성장이 기대되는 분야다.
쓰리에이로직스의 또 다른 핵심축은 차량용 디지털 키다. 차량 문을 여는 기본 동작과 함께 엔진 시동, 공유 카 인증, 무선충전기 카드 검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쓰인다. 쓰리에이로직스는 지난 2022년부터 현대차(005380)와 기아(000270)에 차량용 NFC를 공급하고 있다.
차량용 NFC 칩은 CCC(Car Connectivity Consortium) 인증을 통과해야만 적용 가능하다. 현재 이 분야의 인증을 통과한 기업은 네덜란드의 NXP, 유럽의 ST마이크로, 중국 푸단마이크로, 쓰리에이로직스까지 단 4곳뿐이다. 지난해 11월에는 연간 3500만대 이상을 생산하는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중국을 공략하기 위해 선전시에 글로벌 비즈니스센터를 설립했다.
쓰리에이로직스는 올해 매출 목표를 300억원으로 정했다. 지난해 매출(180억원)보다 30% 이상 성장한 수치다.
솔루엠(248070) 향 전자선반라벨(ESL) 칩 매출이 하반기 회복세를 보이고 있고 신제품 TNR300과 DPP 태그 공급이 본격화되면서 3~4분기에 실적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박 대표는 “2034년까지 ESL용 NFC 칩에서 세계 2위, 차량용 NFC 칩과 DPP용 듀얼밴드 NFC 칩에서 글로벌 톱3를 차지할 것”이라며 “매출 3000억원, 시가총액 1조 5000억원 규모 기업으로 키우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