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 “당연히 경찰 특수단에서 체포영장을 신청해야 되는 점인데 이것이 아마 내란특검하고 수사 대상 범위가 겹치고 있어서 내란 특검과 협의 중이라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특수단의 범죄 사실은 특수공무집행 방해하고 증거인멸, 이런 부분들이고 내란 특검은 또 수사할 내용이 방대하기 때문에 어떤 걸로 신병 확보를 할 것인가는 잘 협의해서 내란 특검에서 아마 최종적으로 하게 되지 않을까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박 의원은 ‘윤석열씨의 재수감이 언제쯤 될 것으로 예상하는가’라는 진행자의 질문에 “굉장히 빨리 수사가 진행되면 저는 한 달 내로도 신병 확보는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답했다.
박 의원은 김건희 여사가 검찰의 출석 요구에 수차례 불응하고 아산병원에 입원한 것을 두고는 “수사를 회피하기 위한 목적은 아니었는지 의심이 든다”며 “내란 사건을 돌이켜 보면 조지호 경찰청장은 굉장히 중대한 병중에도 구속되고 지금은 나와 있지만 구속 기소됐지 않았느냐. 그래서 수사를 피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또 박 의원은 3대 특검에 대한 아쉬운 점을 말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아쉬운 점으로는 “특검보를 너무 검찰 위주로, 검찰 출신들로 뽑았다”며 “내란에 있어서의 검찰의 역할, 공모 부분에 있어서 그 수사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중에서는 윤석열 검찰총장 대검의 참모도 있고, 그다음에 박근혜 대통령 당시 민정에 파견되었던 검사 출신도 있고, 이런 부분들은 친윤 검찰들과 좀 가까워서 검찰에 대한 수사 진행하는 데 좀 우려가 있다”며 “조은석 특검께서 잘 또 아울러서 검찰에 대한 수사를 제대로 진행해달라는 요청을 좀 드리고 싶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박 의원은 “민중기 특검이 판사 출신이시기도 하지만 특검보가 또 검찰 출신으로 인선이 웬만큼 돼서 김건희 특검은 속도를 좀 내지 않을까 싶다”며 “채 해병 특검 같은 경우에도 군대와 관련한 이런 수사 능력이 있는 분들, 특별한 특수성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 뽑힌 걸로 봐서는 좀 잘 진행하지 않을까”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