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자 등 취약 계층에 대해 정부가 채무를 덜어주는 데 대해서는 이견을 달기 어렵다. 상환 능력이 없는 이들의 빚을 탕감해 재기 발판을 마련해 주고 삶의 의지를 불어넣는 일은 나름대로 가치를 인정할 수 있다. 민간 금융기관들도 회수 가망이 없는 채권을 싼값에 배드 뱅크에 넘기는 게 나을 수 있다. 은행권의 개인사업자 대출연체율이 1분기 기준 0.71%로 2022년 코로나 19 위기 당시(0.37%)보다 훨씬 악화돼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불가피한 면도 있다. 더구나 기한을 연장해 준 소상공인 코로나 대출 47조 4000억원이 9월 만기 도래를 앞두고 있어 취약 계층의 부담은 더 가중될 게 분명하다.
또 하나는 빚 탕감이 새 정부 출범 때마다 되풀이돼선 곤란하다는 점이다. ‘빚 갚는 사람이 바보’라는 분위기가 만연할 수 있고, 성실하게 채무를 이행한 사람들이 상대적 박탈감에 빠질 수 있다. 사회적 갈등을 키울 수 있는 것이다. 이 정부는 빚 탕감에 먼저 나섰던 문재인 정부와 윤석열 정부의 사례를 꼼꼼하게 분석하고, 부작용을 막을 방안을 찾기 바란다. 빚 탕감은 선심성 선물이 아니라 약자를 구할 튼튼한 동아줄이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