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대 전망이 지배적이던 올해 경제성장률이 1%대로 오를 것이란 기대와 국가채무 1300조원 돌파로 미래세대 부담이 커졌다는 비판이 동시에 나오고 있다.
|
여권은 올해 2차 추가경정예산안 편성과 심의·의결을 속전속결로 처리했다. 지난달 26일 정부안 제출, 이달 4일 여당 주도의 국회 본회의 처리, 5일 이재명 대통령이 주재한 임시 국무회의에서의 심의·의결까지 2주밖에 걸리지 않았다. 이 과정에서 30조 5000억원인 추경 규모는 31조 8000억원으로 늘었다.
국회 심의과정에서 증액은 2조 4000억원, 감액은 1조 1000억원 이뤄졌다. 구체적으로 소비쿠폰 등 경기진작에 2조 1000억원 증가한 17조 3000억원, 소상공인의 장기연체채권을 매입·소각하고 영유아 보육료 지원액 5% 인상 및 발달장애인 돌봄 확대 등 취약계층 지원을 늘리는 민생안정에 3000억원 추가한 5조 3000억원을 각각 투입하기로 했다. 연내 집행 가능성을 따져 방위사업예산 등은 줄였다.
이에 오는 21일부터 전 국민에 1인당 15만원을, 차상위계층·한부모가족은 30만원, 기초생활수급자엔 40만원을 1차로 지급한다. 지역별 추가지급액도 이때 얹어진다. 9월 22일부터는 소득 하위 90%를 선별해 10만원씩 2차로 지급한다.
이와함께 ‘5대 분야’ 소비진작을 위한 할인쿠폰은 7월 영화, 8월 숙박·공연·전시, 9월 스포츠 시설 순으로 지급한다. 에너지 소비효율 1등급 가전제품 구매비용을 최대 30만원 돌려주는 환급서비스는 8월 말부터 시행한다.
경제성장률 1%대로 오를 듯…나랏빚은 부담
추경에 힘입어 올해 0%대의 암울한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1%대로 올라설 것으로 보인다. 기재부는 추경으로 올해 경제성장률이 0.2%포인트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추경에 따른 성장률 증가 폭을 0.14~0.32%포인트로 추정했다. 한국은행의 6월 전망치가 0.8%임을 고려하면 1%대는 넘어서게 된단 의미다.
다만 일각에선 추경의 효과성에 의문을 계속 제기하고 있다. 소비진작이 ‘반짝’ 효과에 그쳐 경기회복까지 이어지는 데엔 한계가 있을 것이란 지적이다. 불어나는 나랏빚도 부담이다. 정부는 세수결손 우려 속에도 추경 재원 마련을 위해 국채 21조 1000억원을 추가 발행하기로 해, 올해 연말 국가채무는 1301조 9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49.1% 수준이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한국은행에서는 개인·기업에 자금을 지급하는 이전지출보다 정부의 소비·투자지출이 경기부양 효과가 3배가량 크다고 본다”며 “효과가 3배 더 큰 정책수단을 놔두고 소비쿠폰이란 가성비 낮은 정책을 써 효과는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