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가 바뀌기 사흘 전인 12월 28일 정식 운행을 시작한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A노선은 파주 운정신도시에서 서울역까지 가는 시간을 기존 90분에서 22분으로 단축시켰고 이번달 개통한 교외선은 경기북부 행정과 경제의 중심 역할을 하는 의정부와 고양 간 이동 시간을 절반으로 줄였다.
27일 국토교통부와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 의정부시와 양주시, 고양특례시를 연결하는 30.5㎞ 구간의 교외선이 운행 중단 21년만인 올해 1월 11일 재개통했다.
|
향후 차량 안전진단비를 위해 약 8억원을 추가로 투입할 예정이며 운영비는 운영현황·수익에 따라 각 시에서 부담할 예정이다.
의정부와 송추, 장흥, 일영, 원릉, 대곡의 6개역이 있으며 이중 송추, 장흥, 원릉역은 무인역사로 운영한다.
교외선 개통으로 의정부와 고양 간 이동 시간이 기존 초대 1시간30분에서 40분대로 단축됐다.
지난 2004년 교외선이 이용률 저조로 운행 중단될 당시 회당 15명 이용에 그쳤지만 재개통 한 지금은 그나마 하루 평균 700명 가까운 승객이 탑승하고 있다.
이는 지난 2020년 교외선 개통을 위해 실시한 타당성용역에서 도출된 2800여명의 25% 수준이다.
비록 개통 직후 이용률이 기대보다 저조하지만 교외선은 경기북부를 서로 연결한다는 점에서 많은 발전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이와 함께 2024년 12월 28일 개통한 GTX A노선의 파주 운정중앙역~서울역 구간은 경기북부 철도교통의 혁명적 변화를 갖고 왔다.
|
이 노선은 지난 2009년 4월 경기도가 국토교통부에 제안한 사업으로 도민들의 이동시간 단축과 교통난 해소를 목표로 추진됐으며 지난해 3월 수서역~동탄역 구간이 먼저 개통했다.
운정중앙역과 킨텍스역, 대곡역, 연신내역, 서울역까지 5개 정거장에 정차하며 운정중앙역에서 서울역 구간 요금은 4450원이다.
기존 대중교통 요금 대비 약 30% 요금이 비싸지만 이 구간 GTX를 이용하는 주민들의 만족도는 물론 지역 개발 기대효과도 크다.
서울과학기술대 철도전문대학원 교수를 지낸 강승필 고양도시관리공사 사장은 “GTX-A노선이 운행하는 고양·파주는 향후 타 지역의 B·C노선이 개통하기 전 5~6년간 경기북부 개발여건에서 독점적이자, 독보적인 우위를 점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실제 GTX 운행 직후 파주에서 서울 각 지역으로 출발하는 광역·시내버스를 운영하는 운수업체들은 GTX 개통 전에 비해 약 25% 가량 버스 이용객 감소가 있다고 파악했다.
경기도는 올해 GTX와 교외선의 개통으로 경기북부 철도교통 여건이 크게 개선된 상황을 계속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제5차 국가철도망계획 및 대도시권광역교통시행계획에 경기북부 철도사업을 반영하기 위해 올해 정부와 국회, 연구기관과 건의·협의를 계속 추진할 것”이라며 “지하철 6호선과 연계한 고양은평선 및 지하철 9호선과 연결되는 강동하남남양주선 역시 올해 설계 발주와 기본설계 착수를 목표로 사업을 추진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