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폭탄·환율 변동성 확대 그리고 내수부진까지 겹친 이중고로 우리 수출 기업의 부담이 커지면서 정부가 지원안 마련 등 총력 대응을 하고 나섰다.
|
21일에는 김범석 기재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경장) 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관계장관(산경장) 회의가 열린다. 또 ‘원스톱 수출 119’ 당진 국가산단 수출기업 간담회가 개최된다. 22일에도 ‘통상현안 관련 범정부 국내 대응 태스크포스’(TF)를 열어 미국 관세정책 변화에 따른 대응 현황을 점검할 예정이다. 같은 날 관세정책관 주재로 별도의 기업인 간담회도 개최한다.
앞서 김범석 직무대행 1차관은 14일 주재한 경장회의겸산경장회의에서 “미국과 중국의 관세 합의에도 아직 글로벌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며 “미국과의 통상협의에 만전을 기하고 관세피해와 내수부진 등으로 어려움이 큰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통계청은 21일 ‘2024년 4분기(11월 기준)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을 발표한다. 지난해 3분기 임금근로 일자리는 전년 동기 대비 24만 6000명 증가했다. 3분기 기준으론 2018년(21만 3000개) 이후 6년 만에 가장 작은 증가 폭이다. 특히 20대와 40대 일자리 감소가 두드러졌다. 40대 일자리는 7만 7000개 줄어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17년 이후 역대 최대 감소 폭을 기록했다.
23일에는 ‘2024년 농가 및 어가 경제조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2023년 농어가 평균 소득은 각각 5083만원, 5487만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만 평균 농가부채는 4158만 1000원으로 2022년(3502만 2000원)보다 655만 9000원(18.7%) 눌었다. 1농가당 부채가 4000만원을 넘은 것은 사상 처음이다.
다음은 기재부, 통계청,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주간 주요 일정 및 보도 계획이다.
◇주간 주요 일정
△20일(화)
09:30 새만금-전주 고속도로 건설 현장 및 식품산업클러스터 등 민생 현장 방문(2차관, 비공개)
10:00 국무회의(직무대행, 서울)
14:00 제5차 지속가능경제 정책협의회(직무대행, 비공개)
△21일(수)
09:30 차관회의(2차관, 서울청사)
14:00 비축전문위원회(2차관, 비공개)
△22일(목)
14:30 제5차 통상현안 관련 범정부 국내대응 TF(직무대행, 비공개)
△23일(금)
09:00 물가관계차관회의(직무대행, 비공개)
◇주간 보도 계획
△20일(화)
16:00 2차관, 새만금-전주 고속도로 건설 현장 및 식품산업클러스터(익산) 등 민생 현장 방문
△21일(수)
08:30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 개최
12:00 2024년 4/4분기(11월 기준) 임금 근로 일자리 동향
15:00 비축전문위원회 개최
16:00 ‘원스톱 수출 119’ 당진 국가산단 수출기업 간담회 개최
△22일(목)
11:00 미국 관세정책 변화에 따른 기업간담회 개최
15:00 2025 인구주택총조사·농림어업총조사 권역별 설명회 개최
17:00 제5차 통상현안 관련 범정부 국내대응 TF
17:00 5월 국고채 모집 방식 비경쟁인수 발행 여부 및 발행계획
△23일(금)
10:00 제46차 물가관계차관회의 개최
12:00 2024년 농가 및 어가경제조사 결과
12:00 통계청, 2025 한국인구학회 전기학술대회 공동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