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5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보다 0.1% 오르며 시장 예상치에 못 미쳤다. 이는 블룸버그가 집시장 전망치(0.2%)를 하회한 수치다.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PI도 0.1% 오르는 데 그쳤으며, 근원 상품 가격은 0.2% 근원 서비스 가격도 각각 0.1%씩 상승했다. 트럼프 관세에도 물가 상승세는여전히 억제된 수준이다.
물가상승이 억제된 것은 세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우선 기업들이 4월 2일 관세 발표 전에 수입품을 사전에 상당량을 비축했다는 점, 두번째로는 관세가 실물경제에 반영되려면 어느정도 시차가 걸린다는 점, 마지막으로 소비가 빠르게 둔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들이 관세비용을 소비자 가격에 전가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 등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트럼프 관세는 예측하기가 어렵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국 내 자동차 생산을 유도하기 위해 조만간 자동차 관세를 인상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2035년부터 휘발유 차량 판매를 금지하는 캘리포니아주의 규제를 폐지하는 법안 서명식에서 “머지않아 자동차 관세를 인상할 수도 있다”며 “관세가 높아질수록 (외국 자동차 업체들이) 미국에 공장을 지을 가능성도 커진다”고 말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으로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디트로이트 3대 완성차 업인 GM, 포드, 스텔란티스(지프 제조사)의 주가는 일제히 하락했다. GM주가는 1.23%, 포드는 1.22%, 스텔란티스는 1.84% 하락했다. 테슬라 주가는 2.23% 떨어지며 하락폭이 더 컸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전기차 판매를 매년 확대하도록 요구하는 캘리포니아주의 청정 대기 정책을 무효화하는 조치에 서명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그나마 투자자들이 환호한 것은 빅테크 랠리에 대한 기대감이다. 오라클 주가는 이날 무려 13.32% 급등했다. 오라클은 전날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클라우드 인프라 사업이 2026 회계연도에 7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수주량은 2배 이상 증가할 것이라고 밝힌 게 투자자들을 환호하게 했다. 마이크로소프트(1.32%), 엔비디아(1.52%)도 상승 마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