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외교가에 따르면 최근 방한한 나가시마 아키히사 일본총리 보좌관은 한국 측에 역사문제 관리를 위한 3대 원칙으로 △단기적인 이해득실에 얽매이지 말고, 양국의 장기적 전략 이익을 잊지 말 것 △과거의 합의(정부 담화 등)를 최대한 존중하고, 결코 후퇴하지 말 것 △양국 국민들을 용기를 가지고 설득해 나갈 것을 제안했다. 나가시마 보좌관은 이시바 시게루 총리의 최측근 인사다.
우리 정부 역시 일본이 먼저 과거의 합의를 존중하는 가운데 ‘후퇴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선제적으로 냈다는 점에서 이번 3대 원칙을 높게 평가하는 기류다. 이재명 대통령은 17일(현지시간)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7개국(G7) 정상회의 계기로 한일 정상회담을 열고 “한국과 일본이 미래지향적으로 협력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고 이보다 앞선 일본의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리셉션에도 영상을 통해 “안정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발전이 이뤄지길 소망한다”라고 말했다. 실제 이 대통령은 첫 한일정상회담에서 과거사에 대해 큰 언급은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과거사 문제를 덮어두자고 생각하는 게 아니다”라며 “과거 문제는 과거대로 논하되, 과거 문제가 현재와 미래 협력을 저해하지 않도록 잘 관리한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과거사문제는 오랜 시간이 누적됐고 국민감정도 엮인 만큼, 관리가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있다. 일본과의 대대적인 관계개선에 나섰던 윤석열 정권도 지난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조선인 강제징용 현장인 사도광산의 추도식 문제가 발생하며 진통을 겪었다. 이 와중에 일본은 다른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아시오광산과 구로베 댐에 대해서도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게다가 역사교과서 검정문제, 일본군 강제 위안부 문제, 독도 영유권 주장, 유력 정치인들의 야스쿠니 참배와 공물 봉납 등도 매해 반복되는 갈등 요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