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전 대변인은 20일 페이스북에 전날 김 전 최고위원의 라디오 출연 발언이 담긴 보도를 공유하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하루가 멀다 하고 권력에 대해 나팔을 부는 분이 나온다”라며 “작년부터 올해까지 왕성하게 방송도 나가시고 대선국면에서 당에 부담을 주시던 분인데 지도부도 사퇴하고 선거를 두 번 뛰시더니 또 한자리 필요하신가 보다”라고 비꼬았다.
신 전 대변인은 “말은 바르게 하셔야죠. 누가 가해자이고 누가 피해자인가? 누가 민주주의를 짓밟고 있고 누가 민주주의를 지키고 있는가?”라며 “책임 소재를 가리자는 것은 양비론의 비겁함 보다는 낫지만 가해자와 피해자를 뒤바꾸는 것은 비열한 방식”이라고 했다.
이어 “내부총질 문자 이후 누가 가해자이고 누가 피해자인지 한번 책임 소재를 가려보는 것은 꼭 필요한 일”이라며 “국민도 당의 진실에 대해서 아셔야 하기 때문”이라면서 글을 맺었다.
|
그는 또 “그런 상황에서 (이 전 대표는) ‘나는 피해자고 저 통 큰 사람이 나를 공격해서 잘못됐다는 논리를 계속 끌고 가면서 문제를 일으킨다”며 “대통령이나 대통령 보좌하는 분들은 논리적으로나 진실 관계가 (이 전 대표의 주장이) 맞아서가 아니라, 대부분 (이 전 대표와) 엮이기 싫어서 그냥 잠잠해지기를 보고 있으니까 문제가 해결이 안 된다”고 했다.
이어 “이 전 대표는 그냥 ‘왜 나를 이렇게 만들었나. 대통령은 통 큰 사람인 줄 알았는데 내가 속았다’고 하니 논리의 비약”이라며 “자신이 한 일이 과연 용서받을 수 있는 일이었는지, 정당한 일이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먼저 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
이 전 대표가 지지자들을 향해 당원 가입을 독려하는 것은 ‘친이준석’ 책임당원을 늘려 재기의 발판을 마련하고, 차기 전당대회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 전 대표는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으로 대표직을 박탈당한 뒤 비대위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과 본안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이후 윤 대통령과 윤핵관에 대한 비판 수위를 높이고 있다.
지난 13일 기자회견에선 권성동 · 이철규 · 장제원 의원을 윤핵관, 정진석 · 김정재 · 박수영 의원을 윤핵관 호소인이라며 실명을 거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