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소식통은 “베센트 장관은 통화 정책을 다루는 트럼프 행정부 내 유일한 당국자로, 다른 정부 인사들이 무역 파트너와 통화 문제를 논의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며 “모든 통화 관련 협상은 반드시 베센트 장관이 직접 관여할 때만 이뤄지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에 전했다.
이어 “무역 협상에서 상대국이 통화를 인위적으로 절하하지 않도록 요구할 수는 있지만, 이를 협정 문안에 명시할 계획은 없다”고 덧붙였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재집권 이후 무역적자 축소와 제조업 부흥 등을 주요 경제 기조로 내세우는 가운데, 외환시장 일각에서는 의도적으로 달러 약세를 유도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달러 약세를 통해 무역적자를 줄일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최근 대만의 경우 이달 초 통화가치가 1988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고, 시장에서는 미국과의 무역협상 과정에서 대만 당국이 자국 통화 절상을 용인할 수 있다는 해석이 이어졌다. 원화와 엔화 가치도 함께 상승했다.
이같은 인식의 배경에는 미 재무부가 일본, 중국, 대만을 ‘환율 관찰대상국’으로 지정한 데 이어, 지난해 11월 한국도 여기에 포함시킨 것도 있다.
그럼에도 베센트 장관은 미국은 강달러 정책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고 수차례 강조하고 있다. 그는 지난 2월 이후 여러 차례 “강한 달러 정책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밝혔으며, 지난달 국제통화기금(IMF) 춘계 회의와 밀컨 콘퍼런스 등에서도 “미국은 세계 자본의 최우선 투자처”라고 강조했다. 지난 주말 중국과의 무역협상에서도 “환율 문제는 논의하지 않았다”고 확인했다.
베센트 장관은 “환율 문제는 반드시 본인이 직접 다루는 사안”이라며 정부 차원의 공조 논의 가능성을 차단하고 있다.
한편 일본의 가토 가쓰노부 재무상은 이번 주 캐나다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 회의에서 베센트 장관과 환율 문제를 논의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