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성형 AI는 구글 검색과 비교해 더 길고 복잡한 질문을 받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질문에 답변하려면 AI 챗봇은 여러 출처에서 정보를 한 번에 끌어와 정리해야 한다. 같은 제품에 대해 물어보더라도 어떤 AI는 회사 공식 웹사이트에서 정보를 가져오는가 하면 다른 AI 모델은 후기 사이트를 더 많이 참고하는 등 AI 모델 별로 검색 방식도 다양하다.
이에 새로운 AI 기반 검색 환경에 대비한 노출 전략을 연구하는 기업들이 생겨나고 있다. 예컨대 ‘최고의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노출되길 바라는 자동차 브랜드를 위한 전략을 찾아주는 것이다.
얀은 “기업들은 지난 20여년간 구글 검색에서 상위에 노출될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최적화하는데 힘써왔지만, 이제 그런 형태의 검색은 매우 빠르게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전세계 검색 점유율 90%를 차지하는 구글도 지난해 검색 결과 상단에 요약 내용을 제시하는 ‘AI 요약’ 기능을 도입했다. 사용자 질문에 생성형 AI 처럼 대화하는 AI 모드도 출시했다. 구글 경영진은 전통적인 온라인 검색 방식이 사라질 것으로 예상하지는 않지만 AI 검색이 늘어날 경우 구글의 트래픽 및 광고 수익이 감소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생성형 AI 검색 노출도를 높여주는 산업은 기존 SEO 산업 규모와 비교하면 미미하지만 점점 커지는 추세다. 지난해 기준 전세계 SEO 시장은 900억달러(약 123조원) 규모로 추산된다. SEO 컨설턴트 사이러스 셰퍼드는 “올해 초까지만 해도 AI 검색 노출 업무에 거의 시간을 쓰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그 비중이 최대 15%에 달한다”며 “연말까지 AI 검색 업무 비중이 절반에 이를 것”이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