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브라질산 닭고기는 국내산보다 가격이 저렴한 데다 보통 순살로 수입돼 외식 프랜차이즈를 중심으로 많이 사용돼왔다. 지난해 우리나라가 수입한 브라질산 닭고기는 전체 수입량의 86%이며 지난해 국내 닭고기 소비량의 20%를 차지했다.
정부는 지난 23일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브라질 내 고병원성 AI가 발생하지 않은 지역에서 닭고기를 수입하겠다고 밝혔지만, 상대국과 협상을 해야 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수입 재개 시점을 예단할 수는 없다.
한 프랜차이즈업체 관계자는 “브라질산 닭고기 수입 금지가 장기화하면 가격 조정 요인이 될 수 있다”며 “각 브랜드에서 공급처 다변화에 실패하면 가격 경쟁력이 악화돼 시장이 전반적으로 위축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또 다른 외식업계 관계자는 “브라질산 닭고기 사태가 길어지면 가격 인상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특히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는 원육 공급 차질을 크게 받을 수 있다. 본사 지원을 받는 프랜차이즈보다 재고 여력이 부족해서다. 푸드트럭에서 닭강정을 파는 한 운영자는 “브라질산이 더 비싸지면 태국산이나 다른 대안을 찾아볼 수 있겠지만, 브라질산이 상대적으로 값이 저렴한 터라 원가가 더 비싸질 것 같다”고 했다.
브라질산 닭고기를 사용하는 편의점업계도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원료 수입처 다변화 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CU는 순살치킨과 닭강정, 치킨버거 등 15종에 브라질산 닭고기를 사용하고 GS25와 세븐일레븐도 각각 제품 2종에 쓰고 있다.
아직까지 국내산 닭고기 소비자가격은 지난 21일 기준 5653억원으로 브라질산 가금류 수입 금지 조치와 최근의 AI 발생 이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정부는 브라질 내 고병원성 AI가 발생하지 않은 지역에서 닭고기를 수입하는 것 이외에 닭고기 수입업체가 보유한 재고 물량을 시장에 방출하도록 독려하는 한편, 국내 육계 기업과 국내산 닭고기 공급을 늘린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