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계란 산지 가격이 오는 8월까지 강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 계란이 진열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
|
8일 농촌경제연구원의 ‘축산관측 6월호’에 따르면 이달 계란 산지 가격은 특란 10개에 1850∼1950원으로 1년 전보다 12.4~18.5%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지난 최근 3년 간 최대·최소를 제외한 평균인 평년 가격과 비교하면 9.9~15.8% 높은 수치다.
계란 산지가격 강세는 8월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농경연은 7~8월 평균 계란 산지가격은 1750원~1850원으로 6월보다는 소폭 내리지만, 여전히 높을 것으로 예측했다. 작년 7월과 비교하면 7.6∼13.8% 높고, 작년 8월보다는 8.2∼14.4% 비싼 수준이다.
최근 계란 산지 가격은 고병원성 AI 등 전염병 확산으로 생산성은 줄어들며 고공행진 하고 있다. 계란 산지 가격은 지난 3월만 해도 1년 전과 비슷했지만, 4월과 지난달에는 특란 10개 기준으로 1773원과 1838원으로 각각 10.2%, 12.2% 올랐다.
농경연은 “3월 중순 충청권에서 고병원성 AI가 집중 발생하며 지역 간 물량 불균형이 발생하며 전국 평균 산지가격이 올랐다”며 “저병원성 AI, 전염성 기관지염(IB), 가금티푸스 등 소모성 질병으로 생산성도 낮아졌다”고 분석했다.
농림축산식품부 역시 지난 달 설명자료에서 “지난 3월 말부터 다수 농가에서 환절기 전염성 기관지염 등 소모성 질병 발생으로 계란 생산량이 일시적으로 4∼6% 감소했다고 추정한다”고 밝혔다.
이같은 영향으로 일평균 계란 생산량은 6월에는 증가하지만, 7~8월에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농경연은 6월 일평균 계란생산량은 전년(4769만개)대비 2.0% 증가한 4864만개로 내다봤다. 반면 7~8월에는 각각 전년대비 0.4%, 1.0% 감소한 4821만개, 4796만개로 전망했다.
계란 산지 가격 상승에 소비 증가도 겹치며 소비자 가격도 오름세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지난달 평균 계란 소비자 가격은 특란 한 판(30개)에 7026원으로, 지난 2021년 7월 이후 4년 만에 7000원을 넘었다. 이는 1년 전, 평년보다 각각 6.0%, 4.2%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