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조치는 지난 4일 미 정부가 발표한 19개국 여행금지 조치(12개국 전면, 7개국 부분제한) 후속조치로 대상을 대폭 확대하는 것이다. 추가된 국가에는 이집트와 지부티 등 25개국 아프리카 국가, 카리브해, 중앙아시아, 통가와 투발루 등 태평양 섬나라 등이 포함될 것이라고 WP는 전했다.
구체적으로 36개국은 앙골라, 앤티가 바부다, 베냉, 부탄, 부르키나파소, 카보베르데, 캄보디아, 카메룬, 코트디부아르, 콩고민주공화국, 지부티, 도미니카, 에티오피아, 이집트, 가봉, 감비아, 가나, 키르기스스탄, 라이베리아, 말라위, 모리타니, 니제르, 나이지리아, 세인트키츠네비스, 세인트루시아, 상투메 프린시페, 세네갈, 남수단, 시리아, 탄자니아, 통가, 투발루, 우간다, 바누아투, 잠비아, 짐바브웨다.
앞서 지난 9일부터는 이란, 예멘, 아프가니스탄, 미얀마, 차드, 콩고공화국, 적도기니, 에리트레아, 아이티, 리비아, 소말리아, 수단 등 12개국 국민의 미국 입국을 금지했다. 이와 함께 부룬디, 쿠바, 라오스, 시에라리온, 토고, 투르크메니스탄, 베네수엘라 등 7개국 국민의 미국 입국을 부분적으로 제한했다.
미국이 이들 국가를 대상으로 정한 것은 해당 국가 국민들이 미국 내에서 신뢰할 수 있는 신분증을 가지고 있지 않거나, 중앙정부 또는 기관이 관련 문서를 발급해주지도 못하고, 발급에도 비협조적이기 때문이다. 또 비자가 만료됐는데도 계속 체류하는 국민들이 많은 경우, 미국 내에서 반유대주의 및 반미 활동을 한 경우 등도 입국 제한 대상에 포함했다.
WP는 “이러한 움직임은 트럼프 행정부의 공격적인 이민 단속에 이어 또 하나의 이민 억제 정책으로 국제 사회의 비난을 받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실제 민주당과 인권단체들은 이에 대해 ‘외국인 혐오’ ‘인종차별적 조치’라고 규정하며 “제2의 무슬림 금지정책”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