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제로 지난 8일 윤 대통령 석방을 계기로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야당은 장외 투쟁과 삭발, 단식 등으로 헌재를 향한 압박을 최고 수위로 높이는 중이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야권과 같은 장외 투쟁으로 헌재를 압박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세웠지만, 절반이 넘는 의원들이 개별적으로 장외 투쟁에 동참하며 사실상 맞불 집회에 나선 상황이다.
다만 국민의힘 내에서 장외 총력 투쟁에 나설 경우 역풍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적잖다. 실제로 송 의원뿐 아니라 일부 ‘온건파’ 의원들도 “민주당이 진흙탕으로 끌고 들어가려 하는 데 굳이 맞장구쳐줄 이유가 있나. 중도층도 고려해 전략적으로 신중할 필요가 있다(이상휘)” “강경 투쟁은 거부감만 키운다(신성범)” “헌재의 심판은 그들에게 맡기고 여야 정치인들은 국회에서 국민을 위해 일해야 한다(안철수)”고 주장했다.
송 의원은 “저 역시 (윤 대통령 탄핵심판이) 각하 또는 기각이 나오는 게 줄탄핵과 입법폭주로 의회독재를 하고 있는 야당으로부터 대한민국을 지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다만 탄핵 찬반을 둘러싼 여야의 진영 대결 정치가 오히려 국민적 갈등과 분열만 가중시키고, 탄핵 선고 이후 커다란 후유증도 남길 수 있는 만큼 편향적인 발언을 경계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치인들은 민주주의 사회의 다양한 생각과 현안을 조율하고, 사회적 대립과 갈등을 누그러뜨리고 치유하며 건강한 사회 통합을 이뤄내는 게 기본 소임”이라며 “헌재에서 어떤 결과가 나오든 승복하고, 사회 통합을 위한 지혜와 노력을 모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한편, 송 의원은 비상계엄 사태 이후 당 대표직에서 물러났다가 최근 정치 활동을 재개한 한동훈 전 대표에 대해 “다양한 분들과 소통하는 과정이 정치적으로 성숙돼 가는 과정으로 본다”며 “본인의 성찰과 자숙이 국민적으로 공감을 받는지에 대해 확인하는 시간도 될 것”이라며 정치권 복귀를 환영했다.
한 전 대표의 복귀를 계기로 당내 친한(親한동훈)과 친윤(親윤석열) 계파 갈등이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는 경계를 당부했다. 송 의원은 “언론에서는 저를 친한계로 분류하고 있지만, 저는 계파 정치를 지양하고 있다”며 “정치적 뜻이 같으면 함께 하며 지지할 수 있고, 철학과 비전이 다르면 비판할 수 있는 게 정치라고 생각한다. 굳이 어느 계보로 묶어서 편가르기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