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병덕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민주당 디지털자산위원회 위원장)은 지난 17일 “국민연금의 디지털자산 현물 ETF 투자는 분산투자 원칙에 따른 피할 수 없는 전략”이라며 제도권의 디지털자산투자 필요성을 역설했다.
현대 포트폴리오 이론은 지난 1952년 해리 마코위츠(Harry Markowitz)가 정립한 이론으로 자산 간 상관관계를 고려해 전체 위험부담(Risk)를 최소화하면서 기대수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제시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서로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을 함께 보유할수록 포트폴리오의 전체 리스크가 줄어든다.
|
민 위원장은 “이 기업들의 주가는 디지털자산 시장과 밀접하게 연동돼 국민연금은 의도하지 않았더라도 디지털자산 시장의 등락에 노출돼 있다”며 “비의도적 노출로 리스크를 방치할 것인지, 아니면 전략적 분산으로 관리 가능한 수익·리스크 구조를 만들 것인지에 달린 문제”라고 주장했다.
전 세계 주요 연기금과 기관투자자들은 이미 디지털자산에 대한 전략적 접근을 시작하고 있다. 싱가포르 테마섹은 블록체인 인프라 기업과 웹3 분야에 투자하고 있다. 호주 AMP 연기금 , 미국 미시간주 연기금은 비트코인에 , 캘리포니아 공무원 연금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ETF, 마이크로스트레티지에 투자하고 있다. 영국 연금 전문업체 카트라이트는 자산의 3% 가량을 비트코인 할당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는 “국민연금과 같은 공적 자금이 위험도가 높은 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일부분 공감하지만 , 위 포트폴리오들의 전략은 디지털자산을 핵심 자산으로 취급해 포트폴리오의 절반 이상을 위험자산에 투자하겠다는 것이 아니다”며 “글로벌 선도적인 기관과 연기금들은 앞다퉈 포트폴리오 일부를 디지털자산에 구조적으로 , 분산적으로 편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민주당 디지털자산위는 제도권 투자, 커스터디, 감사, 세제 인프라를 정비해 국민연금이 국내외 규제 가이드라인을 반영한 투자 프로세스를 구축하도록 입법과 감독체계 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다.
민 위원장은 “디지털자산은 실험적인 투기 자산이 아니며, 이미 제도권 금융에 진입했고 ETF와 인프라 기업을 중심으로 기관 투자자들이 운용 가능한 자산군으로 자리 잡고 있다”며 “감정적 거부감으로 디지털자산을 외면하는 것이야말로 글로벌 금융 흐름에서 낙오돼 통화주권을 상실하고 , 국민 자산 성장 기회를 놓치는 리스크라는 위기감을 바탕으로 민주당은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해나가겠다”고 밝혔다.